8 820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후두연골에 대한 형태해부학적 연구

Other Titles
 (An) anatomorphological study on the Korean laryngeal cartilages 
Authors
 이영효 
Issue Date
198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에 이르러 수술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의 개발과 음성학에 기초를 둔 후두기능 검사법의 발달로 각종 후두 질환에 대한 조기진단과 인공후두 및 후두재생 등에 관한 많은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이에 수반하여 후두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게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헌상으로 볼 때 여러 학자들(Gedgowd, 1900; Mayet 및 Mundnich, 1958; von Leden 등, 1961; Mainowski, 1967; Sonesson, 1971; Sellars 및 Keen, 1978)에 의한 많은 연구업적이 있으나 유감스럽게도 우리 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업적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후두구조에 대한 계측을 생체에서 행함이 바람직스럽다 하겠으나 기술적인 면에서 어려움이 많고 또한 일반적으로 포르마린 방부제로 처리한 사체에서는 연골구조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사체후두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상적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안치된 사체에서 적출한 남자후두 26개와 여자후두 10개의 후두를 대각으로 일련의 형태해부하적 계측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갑상연골의 상각단과 하각단은 각자 내측방향으로 향해 있었으며 양측 갑상연골의 각도는 남자에서는 평균 84°, 여자에서는 111°였다.

2. 총 36개의 후두연골중 3예(8.3%)에서 윤상연골과 제1기관연골이 부분적으로 연골융합이 이루어져 있었다.

3. 총 72개의 상각 중 4예(5.6%)에서 맥립연골이 발견되었다.

4. 성대의 길이 중 막부(membranous portion)는 전체 성대길이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5. 윤상연골 관절면의 장축의 연장선은 대부분 정중위 선상에서 만나지만 남자 3예와 여자 1예에서 어긋나거나 만곡된 축을 보였다.

6. 피열연골의 움직임은 윤상연골 관절면 위에서 요동운동, 활주운동 및 굴곡(tilting) 운동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The recent development of phonetics and the place of the larynx in this action, encouraged us to make a study of the functions, diagnoses, treatment and surgical reconstruction in relation to the phonetics and the larynx.

For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rynx and phonation, understanding the essential factors determinating the need for surgical reconstruction, a review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findings in 36 cadavers is presented.

In the 36 cases, 26 male and 10 female cadaver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angle of the thyroid laminae was 84°in male and 111° in female.

2. The angle of the transected lines of the posterior cricoid laminae was variable in contract to the mean angle in relation to sex.

3. There were 3 cases(all male or 8.3%) of intercartilagenous fusion between the cricoid cartilage and the first tracheal cartilage.

4. Of the total 72 superior horns, 2 cases had 2 triticeous cartilage attachments(5.6%)

5. In all cases the membranous por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vocal cord was more than half.

6. Of the four shapes of the cricoid articular facet, the oval shape was most prominate(75% of male and 80% of female).

7. The longitudinal diameter of the left and right cricoid articular facets was almost the same in length, but the longitudinal axis of both cricoid articular facets did not always meet at the midline (4 males and 1 femal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23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5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