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33

Cited 0 times in

한국 성인 대장의 동맥분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erial supply of the large intestine in Korean adults 
Authors
 이문형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대장의 동맥분포에는 대단히 다양한 변이가 존재하는데 소화관에 대한 수술에 있어서 환자의 안전과 생존을 위해서는 이 변이에 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사체 114예에서 대장에 분포하는 각 동맥의 존재유무, 기시 및 분포양상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대장에 분포하는 동맥의 유형을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결장동맥은 114예중 108예 (94.7%)가 출현하였으며, 상장간막동맥에서 단독으로 기시한 경우가 79예 (69.3%), 첫 번째 공장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가 1예 (0.9%), 우결장동맥과 공통간으로 기시한 경우가 26예(22.8%)였으며 비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도 1예(0.

9%)가 관찰되었다.

2. 부중결장동맥은 19예 (16.7%)가 출현하였고, 대부분 (13예, 11.4%)이 중결장동맥의 위쪽에서 상장간막동맥의 좌측 혹은 앞쪽으로부터 기시하였으며, 부중결장동맥 또는 그 분지가 좌결장곡으로 향하는 경우는 7예 (6.1%)였다.

3. 우결장동맥은 103예가 관찰되어 90.4%의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상장간막동맥에서 직접 기시하는 경우가 59예(51.8%)로서 중결장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 (26예, 22.8%)나 회결장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17예, 14.9%)보다 도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부우결장동맥은 4예(3.5%)가 관찰되었다.

4. 회결장동맥은 114예 전부에서 출현하였고, 대부분이 따로 기시하였지만 17예 (14.9%)에서는 우결장동맥과 공통간으로 기시하였고 중결장동맥, 우결장동맥 및 회결장동맥이 모두 하나의 공통간으로 기시하는 경우도 1예 (0.9%)가 관찰되었다.

5. 저자는 상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는 분지의 유형을 중결장동맥, 우결장동맥 및 회결장동맥의 존재유무와 기시양상에 따라 여섯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던바 제1분류형이 52예로 45.6%의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고, 제2형이 25예 (22.8%), 제3형이 17예 (14.9%),

제4형이 11예(9.6%), 제5형이 7예(6.1%), 그리고 제6형이 1예(0.9%)였다.

6. 좌결장동맥은 94예중 91예가 관찰되어 96.8%의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대체로 수평에 가까운 경로를 가는 경우가 42예(44.7%), 상행하는 경우가 49예(52.1%)였고, 좌결장동맥의 상행지가 횡행결장의 좌측부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37예 (39.4%), 좌결장곡으로 향하는

경우가 14예(14.9%)였다. 도한 10예(10.6%)에서는 좌결장동맥의 위쪽에서 하장간막동맥으로부터 기시하여 회행결장의 좌측부에 도달하는 또 하나의 상행지가 관찰되었다.

7. S상결장동맥은 1∼5개가 관찰되었고 평균 2개였으며 하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가 65예 (69.1%), 좌결장동맥에서 기시하는 경우가 31예(33%), 좌결장동맥의 기시부에서 같이 기시하는 경우가 21예(22.3%)였다.

8. 저자는 하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는 분지의 유형을 좌결장동맥의 경로 및 존재유무, 상행지의 경로를 중심으로 다섯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S상결장동맥의 기시양상에 따라 세분하였던 바 제1유형이 94예중 28예로 29.8%의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제

2형이 14예(14.9%), 제3형이 25예(26.6%), 제4형이 24예(25.5%), 제5형이 3예(3.2%)였다.

이상의 결과로 상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여 대장에 분포하는 세 동맥은 각각 따로 기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제1형, 제2형, 제3형이 83.3%로서 이들이 보편적인 유형으로 사료되었고, 좌결장동맥의 경로는 대단히 다양하며 하장간막동맥에서 기시하는 분지의 유형중 제1형, 제3형, 제4형이 81.9%로서 일반적인 유형으로 생각되었다.



[영문]

There are numerous variations in the arterial supply to the large intestine and it is known that detailed knowledge of the variations is direly needed for modern operative procedures on the intestinal tract.

The present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mode of origin and distribution of the arteries to the large intestine in 114 Koreans adult cadavers and to classify their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middle colic artery was found in 108 of 114 cases (94.7%). It had a separete origin from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in 79 cases 969.3%), from the first jejunal artery in 1 (0.9%), originated from a common middle colic-right colic trunk in 26 (22.8%), and from the splenic artery in 1 cases (0.9%).

2. An accessory middle colic artery was found in 19 of 114 cases (16.7%)

3. The right colic artery was found in 103 of 114 cases (90.4%). It arose from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directly in 59 cases (51.8%), from the middle colic artery in 26 (22.8%) and from the ileocolic artery in 17 (14.9%). An accessory right colic artery was found in 4 cases (3.5%).

4. The ileocolic artery was found in all 114 cases. In most cases it had a separate origin with the right colic artery in 17 cases 914.9%) and, in 1 cases (0.9%), the middle colic, right colic and ileocolic arteries united into a common trunk.

5. The types of arteries leading to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were classified by the mode of origin of the middle colic, right colic and ileocolic arter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hree. Type 1 was found in 52 of 114 cases (45.6%), type 2 in 26 (22.8%), type 3 in 17 (14.9%), type 4 in 11 (9.6%), Type 5 in 7 (6.1%) and type 6 was in 1 (0.9%).

6. The left colic artery was found in 91 of 94 cases (96.8%). It had a more orless horizontal course to the descending colon in 42 cases (44.7%), and anascending course in 49 (52.1%). The ascending branch of the left colic artery reached the left portion of the transverse colon in 37 cases (39.4%), and ran

toward the loft colic flexure directly in 14 (14.9%). In 10 cases (10.6%) an additional ascending branch was found, which originated from the interior mesenteric artery superior to the left colic artery and reached the left portion of the transeverse colon.

7. The number of sigmoid arteries derived from 1 to 5, the average being 2. The sigmoid arteries derived from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in 65 of 94 cases (69.1%), from the left colic artery in 31 (33%) and from the bifurcation point of the left colic from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in 21 (22.3%).

8. The types of arteries leading to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were classified by their mode of origin, course of the ascending brach,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ft colic artery, and were subdivided by the mode of origin of the sigmoid arteries. Type 1 was found in 28 of 94 cases (29.8%),

type 2 in 14 (14.9%), type 3 in 25 (26.6%), type 4 in 24 (25.5%) and type 5 was in 3 (3.2%).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rteries to the large intestine which arise from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usually have separate origins, that types 1,2 and 3 are the most numerous, that the course of the left colic artery is extremely variable

and that among the arteries to the large intestine arising from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types 1,3 and 4 are the most comm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8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44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