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433

Cited 0 times in

Modified Protraction Headgear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 견인시 악안면골의 초기반응에 관한 Holographic Interferometry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olographic interferometry on the initial reaction maxillofacial complex to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antenna type modified protra 
Authors
 이공근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상악골의 부전, 흑은 상악골의 후방 위치를 수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상악골 전방 견인시 사용되는 기존의 Protraction headgear는 환자의 상하순의 위치로 인해 견인점이나 견인 방향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많았다. 이에 저자는 술자가원하는 다

양한 위치로 견인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Modified Protraction headgear를 제작하여 힘의 다양한 요소 즉, 견인점, 견인 방향 및 견인력의 변화에 따른 악안면골의초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인간의 건조 두개골을 대상으로 한 Double exposureHolographic Interfero

metry의 연구를 통해서 간섭무늬 밀도와 주행 방향을 관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면에서 관찰한 결과 상악골을 교합면에 평행으로 견인시 상악골의 전상방으로 회전 양상을 보였고, 견인점이 상방에 위치할수록 간섭무늬수가 감소하였다.

2. 일반적으로 견인량이 300gm 일때 보다 500gm 일때 간섭무늬가 증가하였다.

3. 상악골 확장과 상악골의 전방견인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에 간섭무늬의 방향이 전방견인만 시행한 경우와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4. 교합면 하방 20°로 견인시 교합면에 평행으로 견인한 경우보다 간섭무늬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악골의 전방 회전 양상이 감소하였다.

5. 견인점이 교합면 상방 15mm이고 견인 방향이 교합면에 대해 하방 20° 일 때 상악골이 Translation되는 양상을 보였다.

6. 측면상에서 관찰한 결과 상악골의 봉합선들을 경계로 각 골간의 간섭무늬의 주행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간섭무늬의 방향은 300gm과 500gm으로 견인시 거의 수평방향의 주행을 보였고, 상악골 확장과 동시에 상악골 전방견인을 한 경우 상악골 부위와 제 1대구치 후방에서 익상악 열구 전방까지는 간섭무늬의 주행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7. 측면상에서 상악골 확장을 하지 않을 경우 견인 방향 및 견인점의 변화에 따라 간섭무늬수와 주행방향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영문]

The majority of the commonly used protraction headgers for the protraction of small and/or retropositioned manilla not allow a change in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or direction of the force delivery to attain predictable results because of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ps to avoid discomfort to the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itial reaction of maxillofacial complex according to the change of force variables such as direction and point of farce application with designing an antenna type-modified protraction head gear.

A macerated human skull with well aligned upper teeth was used to experimental model and the investigation was done by double exposure holographic interferometry,

Fringe patterns of each protraction conditions were compared and ana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rontal view)

1.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xilla was showed by parallel protraction to occlusal plane and the fringe was increased in number as higher point of force application.

2. Generally, the number of fringe was increased in 500gm of protraction force than in 370gm.

3. When apply the protraction force to the maxilla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the direction of fringe patterns was differed from the protraction without expansion.

4. In most of cases,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was decreased in case of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20° downward to occlusal plane compared to the parallel direction

5. At the point of force application is 15mm above and the direction of force is 20 downward to occlusal plane, the translation of the maxillary complex was skewed.

(Lateral view)

6. The direction of fringe patterns of the facial bones were differed each other by the statures, and skewed almost parallel when apply the 300gm and 500gm of protraction force.

7. In case of rapid palatal expansion with protraction of the maxilla, the fringe patterns between the maxillary area and the area from the posterior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to the pterygomaxillary fissure were differed. In case without rapid palatal expansion, the changes of direction and point of the force application did not affect to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he fringe patter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56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3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