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00

Cited 0 times in

한국인 언어장애 및 청각장애에 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for hearing impairments and speech disorders 
Authors
 이근해 
Issue Date
198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청각기능과 언어능력은 의사소통이라는 면에서만 보더라도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의식주 못지 않게 중요한 일면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청각장애와 언어장애의 제반요인들이 여전히 증가추세에 있고 이들 장애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가 불충분하며 법적으로도 심신장애자를 규정함에 있어서 지체부자유, 정진박약, 시각장애, 청각장애등만으로 구분하고 있을 뿐, 언어장애에 대하여는 단순히 장애의 부속적인 문제로 취급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영국과 미국등 선진국에서도 언어장애자의 비율이 5∼10세에서 약 14%를 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또한 청각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하루 빨리 청각장애와 언어장애에 대한 정확한 임상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종합적인 재활방안의 확립과 학문적인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1970년 5월부터 1979년 7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청각장애자 7,082명 및 언어장애자 99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적인 결과를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외래환자중 부질환은 약 20%에 달했고 연령은 10세∼30세가 다수를 차지했으며, 청각장애의 원인은 염증성이 62.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선천성, 외상성, 대사성의 순위로 나타났다.

2. 청각장애자중 동반증상은 약 50%에서 나타났으며 이루가 74.4%, 다음이 이명, 현훈 및 이통의 순위였고, 현훈 및 이명동의 耳신경증상을 나타낸 빈도는 전 청각장애자중 약 11%를 보였고 동반증상중에서는 약 20%에 달했다.

3. 고막의 상태는 정상이 32.5%, 중심성천공이 31.5%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전결손, 연천공 및 고실상와천공은 각각 16.5%, 2.1%, 2.1%로 순위로 나타났다.

4. 순음청각검사의 평균역치와 어음청각검사의 PB score를 난청의 종류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전음성난청일 때는 난청의 도에 따라 평균역치와 PB score가 서로 일치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감음신 경성난청의 경우는 난청의 도에 따라 일치하지 않았고 난청이 심할

수록 더욱 불일치의 정도가 심했다.

5. 언어치료실을 방문한 언어장애자들은 장애별로 언어지체, 청각장애, 발음장애, 구개파열, 리듬장애, 뇌성마비, 실어증 및 음성자애의 순위로 나타났으며, 가정 환경은 장애자가 있는 집안에서 언어장애자의 출현률이 높았다.

6. 언어장애자중 뇌성마비와 언어지체아들이 비정상적인 신체발육을 나타냈으며 출생체중이 1.5kg미만일 때 언어장애가 100%에서 발생하였으며 임신력과 분만력에서 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거력을 가진 산모가 22.3%의 고률로 나타났다.

7. 과거병력은 신생아기에서 황달, 아동기에서는 홍역, 중추신경계통 질환은 간질이 많이 나타났으며, 중이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은 비알러지가 높게 나타났고 주요증상은 고열, 경기가 가장 많았다.

[영문]

There are many hearing impairments and speech disorders but sufficient papers were not reported in Korea. So we studied the etiology, incidence, type, degree of 7,082 patients of hearing impairments and 991 speech disorders for the purpose of serving as a guide for early dignosis, treatment, prophylaxis, and also for further study of these patients such as medical insurance system,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metho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tiology of the hearing impairments, in order of the frequency, were as follows:

Aquired inflammation 62.2%

Congenital from 18.5%

Aquired trauma 6.2%

Metabolical form 4.4%

Others 8.7%

2) The most common level of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the etiology of hearing impairments, was found to be deaf in congenital form, moderate in inflammatory form, mail in trauma and metabolical form.

3) The occurrence rate of accompaning otoneurologic symptoms was 11% in cases of hearing impairments.

4) The piture of drum in the hearing impairments, in order of the frequency, were as follows:

(1) Normal drum 32.5%

(2) Central perforation 31.5%

(3) Total perforation 16.5%

(4) Marginal perforation 2.1%

(5) Attic perforation 2.1%

(6) Others 15.3%

5) They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of the puretone losses at three speech frequencies and artilation PB score, showed a consistent estimate in the conducive hearing less but not definite linear in the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the

more the degree of hearing loss, the more poor artilation PB score was observed in the sensorineural hearing loss.

6) Speech disorders were, in order of the frequency, classified as follows:

Delayed speech 35.5%

Hearing impairment 26.8%

Artilation disorder 1.3%

Cleft plate 7.4%

Stuttering 5.3%

Cerebral palsy 4.9%

Aphasia 4.8%

Voice disorder 4.0%

7) The incidence rate of speech disorders was found to be 100% in the cases of the birth weight less than 1.5Kg.

8) The cerebral palsy and delayed speech groups showed abnormal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9) The condition of mother's health in the period of gestation was poor in 22.3% of speech disorders.

10) In the speech disorders, the most common disease, suffered in the past, was the jaundice relating disease in the infancy period, and measles in the childhood.

11) The site of organic defects observed in hearing impairments, in order of frequency, was found to be tongue, lip, soft palate and hard palat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13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3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