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606

Cited 0 times in

소아마비아동의 족관절 골단부의 성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rowth of the disral tiio-fibular epiphysis in poliomyelitis 
Authors
 이경두 
Issue Date
197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족관절은 하지중 체중부하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여 작용하는 관절로 이의 성장과정은 족관절부의 정상발육과 형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마비아동에서 경골 및 비골 원위골단부의 성장장애의 정도, 족관절부의 발육 및 변형을 조사하였다.

연구재료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과 삼육아동재활원에서 입원 가료한 바 있는 87명의 소아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아동 20명을 비교군으로 하였다.

경골 및 비골의 원위골단부의 성장장애를 조사하기 위하여 족관절부 X선 전후면 사진에서 경골과 비골 하단간의 거리와 경골과 비골 골성장단선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경골과 비골 하단간의 거리는 정상아동에서 평균 15.3mm였고 소아마비아동에서 평균 6.2mm로서

소아마비아동에서 정상아동보다 9.1mm작았다. 경골과 비골 골성장단선간의 거리는 정상아동에서 평균 13.7mm 소아마비아동에서 평균 5.5mm로 그 차이는 8.2mm였다.

소아마비아동에서 경골 원우이골단부는 외측을 첨단으로 하는 설상변형을 일으켰다. 따라서 소아마비아동에서 족관절과 경골 원위골단부의 변형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족관절의 경사각과 경골 원위골단부 설상각을 측정하였다. 족관절 경사각은 정상아동에서 평균

1.3°, 소아마비 아동에서 평균 7.0°였으며 경골 원위골단부 설상각은 정상아동에서 평균 3.7°, 소아마비아동에서 평균 12.0°였다.

소아마비아동에서 족내반근과 족위반근의 균형, 근육마비의 정도가 족관절 골단부의 성장 및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근력검사도 시행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소아마비아동에서 비골 원위골단부의 성장장애가 경골 원위골단부의 성장장애보다 더욱 심하였다.

2. 소아마비 아동에서 비골 및 경골 원위골단부의 성장장애의 차이는 족내반근과 족외반근의 근력의 불균형과는 별로 관계가 없었다.

3. 소아마비 아동의 경골 원위골단부는 외측을 첨단으로 하는 설상변형을 이루었는데 이는 비골의 성장장애에 의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4. 소아마비아동에서 족관절을 이루는 관절면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를 일으켰고 이것이 족관절의 외반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5. 근육마비정도와 족관절부 변형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특별한 의의를 인정하지 못하였다.



[영문]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 comparison of lower tibial and fibular epiphyseal growth and deformities of the ankles in normal and paralysed children. The date were based on 87 children with residual paralysis due to poliomyelitis and 재 non-paralysed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and Sam Yook Children's Rehabilitation Center.

The difference in level between the lower tibial and fibular ends, and between the lower epiphysial lines of the tibia and fibula in X-rays of the ankles were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 pattern of the lower tibio-fibular

epiph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lower ends of the tibia and the fibula was an average of 15.3mm in the normal and 6.2mm in paraysed children. Thus the level of the fibular ends in paralysed limbs was an average of 9.1mm less than that of the norm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lower epiphyseal lines of the tibia and the fibula was an average of 13.7mm in normal and 5.5mm in paralysed children. Therefore, the level of the fibular epiphyseal lines in paralysed limbs was an average of 8.2mm less than that of normal.

In paralysed limbs, the lower tibial epiphyses showed lateral epical wedge shaped deformities. The tilting angle of the ankles and the wedging angle of the lower tibial epiphyses were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deformities of the ankles and the lower tibial epiphyses in paralysed limbs. The tilting angle of the ankles average 1.3° in normal and 7.0° in paralysed limbs. The wedging angle of the lower tibial epiphyses averaged 3.7° in normal and 12.0° in paralysed limbs.

In paralysed children, muscle strength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growth disturbance and the severity of the muscular paraysis.

This lead us to conclude that:

1. In paralysed children, the growth disturbance of the lower fibular epiphyse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tibial epiphyses.

2. The difference of the growth disturbance between the tibial and fibular epiphyses was not due to muscle imbalance of the foot invertors and evertors but due to muscle weakness.

3. In paraysed children, the shape of the lower tibial epiphyses changed to a wedge shape, a deformity which might be considered secondary to growth disturbance of the fibula.

4. In paralysed children, the lower tibial ends were tilted upward and laterally. This was thought to be the cause of valgus deformities of the ankles.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muscle paralysis and the deformities of the ankles was not proved in this stud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87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3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