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921

Cited 0 times in

한국인 중이강 후벽에 관한 형태해부학적 연구

Other Titles
 (An) anatomical study of the posterior tympanum 
Authors
 양오규 
Issue Date
198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중이 병변에 관한 수술적 처치는 그 병소 부위가 고막에 국한되어 있거나 중이강 전벽부 및 내면부의 경우 수술 시야가 양호하여 그 처치가 용이하며 수술후 청력개선 및 치유과정도 만족할 만하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수술적 처치방법이 연구되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중이강 후벽이나 상고실에 있는 병소의 처리방법에 대하여서는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으며 그 이유로서는 첫째 수술 시야의 장애, 둘째 안면신경 손상의 위험, 셋째 등골 주변부 병소 조작에 의한 외임프의 유출 및 미로 손상의 위험, 넷째 상고실 부위가 너무 협소하여 수술시 병변 확인이 힘든 경우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단계수술(staged operation)과 외청도 보존형 유양동 삭개술(intact canal wall mastoidectomy)이 소개된 이후로는 더욱 더 중이강 후벽에 대한 해부하적 지식이 절실하게 되었으며, 두개골의 인종적 차이를 감안할 때 한국인에 대한 중이강 후벽의 구조적 연구

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중이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려면 중이강 후벽의 정확한 형태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이 부위 병변을 제거하는 용이한 접근방법에 대한 술자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므로 이에 저자는 다양한 해부학적 변형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느껴 sinus tympani와 facial recess를 중심으로 한국인 정상성인의 측두골 35개를 대상으로 중이강 후벽의 크기와 모양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추체융기의 전부에서 sinus trmpani의 후단까지의 거리는평균 2.54 (1.05-5.40)mm이며 sinus tympani의 최후단과 최상단까지의 거리는 평균 3.22 (1.25-7.45)mm, 0.67(0.40-1.75)mm였다.

2. Sinus tympani는 상하경계가 난원창하부에서 정원창상부인 경우가 29예 (82.8%)로 가장 많았다.

3. Sinus tympani후부의 심부 (deepest portion)는 ponticulus와 subiculum사이인 경우가 22예 (62.9%)로 가장 많았다.

4. Facia1 recess의 침골와 (fossa incudis)로부터 하고실(hypotympanum)까지의 사선거리와 난원창과 정원창사이 중앙부에서의 폭 및 침골와에서의 폭은 평균 8.13 (7.90-9.55)

mm 3.00 (2.85-3.45)mm 및 1.81 (1.40-2.15)mm였다.

5. 안면신경관의 골결손 (bony dehiscence)은 5예 (14.3%)에서 있었다.

6. 등골판의 장경 및 등골판에서 시상돌기 (cochleariform process)와 정원창까지의 거리는 평균 2.98 (2.85-3.05)mm, 1.42 (1.30-1.55)mm, 1.85 (1.45-2.10)mm였다.



[영문]

The sinus tympani is subject to great variability In the size, shape and posterior extent. A heavy compact bony zone, especially in the posterior portion and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facial nerve and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are the limitation of surgical approach.

The facial recess should be opened, creating a wide connection between the mesotrmpanum and mastoid in the intact canal wall tympanoplasty with mastoidectomy. The surgically created limits of the facial recess are the facial nerve medially, the chorda trmpani laterally and the bone adjacent to the incus superiorly.

Using adult Korean's thirty-five temporal bones, the author measured the osteologic relationship in the posterior tympanum, especially sinus tympani and facial recess.

An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anterior end of the pyramidal eminence

1) to the edge of the sinus tympani posteriorly was 2.54(1.05-5.40)mm.

2) to the maximum posterior extent was 3.22(1.25-7.45)mm.

3) to the maximum cephaled extent was 0.67(0.40-1.75)mm.

2. The boundary of the sinus tympani was 82.9% from the lower margin oval window to the upper margin round window niche.

3. The deepest part of the sinus tympani was 62.9% in the midportion, between the ponticulus and subiculum.

4. The oblique dimension from the fossa incudis above to the hypotympanum below was 8.13 (7.90-9.55)mm and the transverse dimension midway between the oval window above and round window below was 3.00 (2.85-3.45)mm and the transverse dimension at

the level of the fossa incudis was 1.81 (1.40-2.15)mm.

5. The facial nerve dehiscence was 14.3%.

6. Anterior-posterior diameter of the footplate was 2.98 (2.85-3.05)mm and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footplate to the cochleariform process was 1.42 (1.30-1.55)mm and to the round window niche was 1.85 (1.45-2.10)m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16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13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