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701

Cited 0 times in

척수손상 환자에서 이소성 골화증의 진단 및 발생위험인자

Other Titles
 Diagnosis and risk factors for heterotopic ossification in spinal cord injury 
Authors
 박기영 
Issue Date
199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소성 골화증은 척수손상 환자의 합병증의 하나로 관절운동범위의 제한을 초래할 수 있고 심한 경우 관절강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운동범위의 제한은 체위변동, 이동 및 일상생활 동작수행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욕창발생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이소성 골화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임상증상, 이학적 검사, 단순방사선촬영, 혈청 alkaline phophatase치 및 bone scan등이 시행되어지고 있으나 각 검사의 결과는 이소성 골화증의 진행단계에 따라 다르다. 척수손상 환자에서 이소성 골화증 발생의 위험인자로 연령, 완전손상, 욕창, 빈혈, 심부정맥 혈전증, 외상과 경직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2년 9월 1일부터 1993년 4월 15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외상성 척수손상 환자중 손상후 6개월 이상된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소성 골화증이 생긴 15명을 제 1군, 이소성 골화증이 생기지 않은 56명을 제 2군으로 나누어 이소성 골화증의 진단, 발생부위, 발생위험인자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소성 골화증은 21.1%(15명)에서 발생하였다.

2. 이소성 골화증의 발생부위는 총 34례중 고관절이 20례(58.8%)로 가장 호발하였고 고관절주위의 발생위치는 전내측이 12례(60.0%)로 가장 많았다.

3. 이소성 골화증 발생의 위험인자들중 욕창, 경직, 빈혈은 모두 제 1군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발생빈도는 위험인자의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4. 제 1군에서 혈청 alkaline phosphatase치는 이소성 골화증이 척수손상후 12개월이내 진단된 환자 7명 모두에서 증가하였고 3 phase bone scan은 단순방사선촬영상 이소성 골화소견이 나타나기 전에 dynamic phase에서 혈관분포의 증가를 나타내어 이소성 골화증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외상성 척수손상 환자에서 이소성 골화증 발생의 위험인자인 욕창, 경직, 빈혈을 가진 경우에 세심한 추적관찰이 요구되고, 혈청 alkaline phosphatase치 측정, 단순방사선촬영과 3 phase bone scan 등이 이소성 골화증의 조기진단 및 성숙도 결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Heterotopic ossification is a frequent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This study, 71 patients with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who were admitted or followed up for mere than 6 months after injury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etween September 1, 1992 and April 15, 1993, were divided into 2 groups: 15 patients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56 patients with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cation risk factors, and efficacy of diagnostic tools for heterotopic oss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eterotopic ossification had developed in 15(21.1%) of 71 patients with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2. The most common location of heterotopic ossification was around the hip joint especially the anteromedial aspect.

3. The risk factor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eterotopic ossification formation were anemia, presence of pressure sores and spasticity. The risk factors appeared to be cumulative.

4. Serum slkaline phosphatase levels were elevated in all of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within 12 months after injury. The dynamic phase of the 3 phase tone scan showed increased vascularity in areas of ossification before roentgenography revealed ossifica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dose clinical observation and serial laboratory tests are needed in patients at risk. Serial serum alkaline phosphatase measurements, roentgenography and 3 phase bone scan will be required for early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maturity of heterotopic ossific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52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8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