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799

Cited 0 times in

치주증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연구

Other Titles
 Clinical and histopatological studies in periodontosis 
Authors
 민상기 
Issue Date
197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주증은 1920년 Gottlieb가 Diffuse alveolar atrophy라고 처음 명명하였으며, 임상증상으로는 초기에 치아의 유주(wandering)와 소성(loosening)이 나타나며 치주낭 셩성이나 화종은 비교적 후에 온다고 발표하였다(Gottlieb; 1946, Kaslick; 1968). 이후 이를 Tho

ma와 Goldman(1940)이 parodontosis라고, Orban과 Weinmann(1942)이 periodontosis라 명명하였으며, Miller(1939), Becks(1941), Box(1948), Glickman(1952)등에 의해 같은 임상적 관찰이 보고되었다.

이의 발생율에 대해서는 ,Kaslick(1968), Marshall-Day와 Shourie(1949), Rao와 Tewani(1968), Belting(1953) 등에 의해 보고되었으나, 진단의 난점과 획일적 평가기준의 결여에서 오는 빈도값의 큰 차는 이 질환의 발생율을 ??관화 시키지 못하고 있다(Belting; 1953, Marshall-Day; 1949, Kaslick; 1968, Rao & Tewani; 1968).

치주증의 원인 및 조직 병리학적인 소견에 있어서 Gottlieb(1946)는 지속적인 백아질 침착의 결핍을 강조했고, Thoma와 Goldman(1937)은 염증의 부재하에 치조골 흡수와 치근막의 퇴행성 변화를 주장했으며, Orban과 Weinmann(1942)도 이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Box(1948)와 William(1962)은 국소 요인에 의한 출혈성 괴사성 도관 병소(hemorrhagic and necrotic tract lesion)라 하였고, Bernier(1957)는 염증반응이라 하여 치주염의 한 형태로 보았으며, Ramfjord(1959)는 교합외상에 의한 것이라 주장하는등 상반된 견해가 양립하고 있어, 이 질환이 임상적 실체로서 존재하느냐 하는 의문마저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Kaslick & Chasens; 1968).

이에 저자는 1977년 1월부터 1977년 9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360명을 대상으로 치주증의 임상소견과 병리 조직학적으로 연구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영문]

The author has studied the incidence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periodontosis and observed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epithelium and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interdental papillae taken fro the 13 cases of periodontosis, among the 360 cases of periodontal disease.

Th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from Jan., 1977 to Sept., 197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360 cases of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sis was 13 cases (3.6%).

2. Among the 13 cases of periodontosis, the sexual incidence showed 3 males and 10 females and most of them (11 cases) were seen under 3rd decade.

3. In histopathological findings, 12 cases showed moderate or less inflammatory condition and 1 case showed normal gingival condition, however all of the above cases revealed severe bone destruction on roentgenographic findings.

4. The mast cell distribution was observed more densely in the papillary layer of connective tissue and the average number of mast cells of the 13 cases was 11.0.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73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