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1505

Cited 0 times in

사람에서 외이의 구조 변화에 따른 공명 주파수 특성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resonance frequency in human external ears according to structural differences 
Authors
 문성균 
Issue Date
199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에 귓속형 보청기의 활발한 보급과 보청기 조절 방법이 주관적 측정에서 객관적 측정으로 바뀜에 따라 외이의 공명 특성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었다. 저자는 보청기 조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정상 성인, 소아 그리고 개방형 유양동 삭개술을 받은 환

자를 대상으로 귀 실측 장비(real ear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여 기준 마이크로폰 (reference microphone)과 고막 외측, 외이도 중간 그리고 외이도 입구에 놓은 탐침 마이크로폰 (probe microphone)사이의 음압차로 외이의 음향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정상 성인군의 외이, 이개 및 외이도 공명 주파수는 각 36551Hz,6445Hz,3464Hz로 서양인에 비해 높은 주파수에서 측정되었고 증폭음압은 각각 18.9dB SPL, 15.2dB SPL, 12.6dB SPL이었으며 응향학적 외이도 길이는 24.8mm이었다. 소아군의 외이, 이개 및 외이도의 평균공명 주파수는 각각 3360Hz, 6936Hz, 3696Hz로 이개 공명 주파수만 성인군과 통계상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증폭음압은 각각 20.4dB SPL, 12.3dB SPL, 15.1dB SPL로 외이와 외이도에서 성인군과 통계상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개방형 유양동 삭개술 후 환자의 외이, 이개 및 외이도 공명 주파수는 각각 1951Hz, 4206Hz, 2434Hz로 모두 성인군과 통계상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증폭음압은 각각 22.8dB SPL,14.8dB SPL, 20.6dB SPL로 외이와 외이도에서 성인군과 통계상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다. 성인군에서 외이도 중간의 공명은 회화 영역에서는 외이 공명과 거의 비슷한 공명 효과가 나타났으나 4000-8000Hz에서는 외이과 비교 해 볼 때 증폭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한국인 외이의 음향학적 특성은 서양인과 다르며 개방형 유양동 삭개술 후 외이의 주파수 공명은 낮은 주파수역으로 편위되므로 모음의 이해에는 도움이 되겠으나 고주파수역에 에너지가 주로 분포되어 있는 자음에 대한 이해에는 불리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외이의 공명이 2000Hz-4000Hz에서 생기므로 귀 실측 계기를 이용하여 보청기조절을 할 때 고막에서의 청력 측정은 2000Hz와 4000Hz 사이에서 한번 더 측정 하여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겠으며 소형 귓속형보청기 제작시 외이 공명 효과를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In order to study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different shapes of the extemal ear, author measured resonance frequencies and their sound pressure levels using 6500 Hearing Aid Test System in adults (32 ears), children (20 ears) and patients received the open cavity mastoid surgery (12 e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adults, mean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external ear, auricle and external auditory canal were 3655Hz,6445Hz and 3464Hz respectively and their sound pressure gains were 18.9dB SPL, 15.2dB SPL and 12.6dB SPL, repectively.

2. Children showed higher resonance frequency of the auricle (6936 Hz) than that of adults, and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external ear (3360Hz) and external auditory canal( 3696Hz )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s. In addition, sound pressure gains of the external ear (20.4dB SPL) and external auditory canal (15.1dB SPL) were higher than those of adults.

3. Patients received the open cavity mastoid surgery had lower resonance normal adults. However, sound pressure gains of the external ear (22.8dB SPL ) and external auditory canal (20.6dB SPL ) in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adults.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shapes of the external ear affect the resonance frequency. In addition, the accurate sound pressure measurement around the resonance frequency range will be

needed when the hearing aid selection carried out using the real ear measurement syste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3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