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841

Cited 0 times in

한국 성인의 갑상선의 동맥분포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Other Titles
 (The) morphological study on the arterial supply of the thyroid gland in Korean 
Authors
 노영수 
Issue Date
198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목 부위에서 외과적 처치를 하는 경우, 특히 갑상선 절제술 때, 갑상선에 분포하는 갑상선동맥과 후두로 들어가는 미주신경의 가지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주요한 구조물들이다. 수술후에 나타나는 성대마비나 출혈과 같은 부작용은 갑상선과 그 주위 구조에 대하여 충분한 해부학적 지식을 갖고 주의를 기울이면 그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외국인에서는 이들 구조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한국인에서는 갑상선에 분포하는 갑상선동맥과 후두로 들어가는 미주신경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없다. 따라서 저자는 한국성인 43구(86쪽)에서 목 부위를 해부하여, 갑상선에 분포하는 동맥과 그 주위 신경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갑상선동맥은 외경동맥, 총경동맥 및 총경동맥의 분기부에서 기시하며, 외경동맥에서 기시하는 것이 가장 많아서 59.3%이었다. 외경동맥 이외의 부위에서 기시하는 것은 오른쪽보다 왼쪽이 2배 더 많았고, 이러한 기시부 변이는 남성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2. 상갑상선동맥과 상후두신경은 그 주행이 거의 같고 서로 얽히어 주행하므로 갑상선수술시에 상후두신경을 세심히 분리하여야 할 것이다.

3. 하갑상선동맥은 갑상경동맥에서 기시한 것이 81.4%이고, 쇄골하동맥에서 기시한 것이 14.0%이며, 추골동맥에서 기시한 것이 2.4%였다. 총경동맥에서 기시한 것은 관찰하지 못했으며 하갑상선동맥이 없는 경우는 2.4%였다.

4. 반회후두신경과 하갑상선동맥의 관계는 크게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유형 중에서, 오른쪽에서는 반회후두신경이 하갑상선동맥 앞에 놓인 경우가 가장 많아서 46.5%였으며, 왼쪽은 동맥의 뒤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아서 38.4%였다. 반회후두신경이

동맥분지 사이로 지나가는 경우는 양쪽을 합하여 20.7%였다. 반회후두신경이 후두밖에서 분지되는 경우는 15.9%이었다.

5. 최하갑상선동맥은 4구(9.3%)에서는 관찰되었으며, 그 기시부는 완두동맥, 대동맥궁, 오른쪽 총경동맥 및 왼쪽 갑상경동맥이었으며, 최하갑상선동맥이 양쪽에 있는 경우를 1구에서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갑상선에 분포하는 동맥과 그 주위의 신경들은 그 국소해부학적 관계가 다양하고, 기시부와 그 주행경로에 변이가 많으므로, 목 부위에 수술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변이에 항상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The results from the dissection of the 43 Korean adult cadavers about the thyroid arteries and the superior and reccurrent laryngeal nerves as follows:

1. The superior thyroid arteries arose from external carotid artery, the common carotid artery and its bifurcation. The thyroid artery arising from the external carotid artery was 59.3% of 86. The incidence of orgin of the superior thyroid artery from the common carotid or its bifurcation is more common in males than females, and appears approximately twice as often on the left as on the right.

2.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perior thyroid artery.

3. The incidence of origin of inferior thyroid artery from the thyrocervical trunk was 81.4%, from the subclavian artery was 14.0%, and from the common carotid artery was 2.4%. The abscence of the inferior thyroid artery was 2.4%.

4. Eight different types of relations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to the inferior thyroid artery were found and illustrated.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passed anterior to the inferior thyroid artery was 46.5% of 43 right sides; it passed posteriorly was 38.4% of 39 left sides; and it passed between the main branches of the inferior thyroid artery was 20.7% of both side. Extralaryngeal blanches were found in 13 cases(15.9%).

5. The frequencies of the thyroidea ima artery was 9.3%(4 cases). It arose from brachiocephalic trunk, aortic arch,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d left thyrocerical trunk. Double thyroidea ima artery was found in 1 cas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lations of the superior and recurrent laryngeal nerves to the thyroid arteries were complexive, and the orgins and the pathways of the thyroid arteries were variable. Then, on the operation of the neck region, surgeon must think about the anatomical variat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