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정상인에서 시야자극에 의한 유발안진의 연령군별 표준치

Other Titles
 Age-specific normative data of visual evoked electronystagmogram in healthy subjects 
Authors
 김은서 
Issue Date
199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안진은 평형기능 장애를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척도의 하나이다. 안진을 객관적

으로 검사하는 방법중의 하나인 전기안진 검사는 안진을 양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안진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진단적 가치를 지니며 걱관적이고 반복적인 기록을 영구적으로 보

관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은 전기안진 검사도 다른 검사와 마찬가지로 표준치를 근거 자

료로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는 정상인에 대한 검사치를 바탕으로 하여야 함은 주지의 사

실이다. 이에 저자는 청각 및 전정기관이 정상이라고 사료되는 80명을 대상으로 그들을 1

0-19세(1군), 20-39세(2군),40-59세(3군), 그리고 60세이상(4군)의 4 연령군으로 분류하

여 각 군당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주시운동(smooth pursuit)검사, 단속

운동(saccade)검사, 그리고 시각운동 안진(optokinetic nystagmus)검사를 시행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시운동 검사상 표적의 시야 자극빈도와 표적의 초당 각속도를 각각 0.2Hz, 20도로

하였을 때 획득도(gain)는 1군부터 4군까지 각각 84.8%, 92.0%, 88.8%, 그리고 79.2%로

서 2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청장년층인 2군과 노년층인 4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그리고 0.4Hz, 40도로 자극하였을 때 획득도는 1군부터 4군까지 각각 73.2%,

81.2%, 71.1%, 69.8%이고 0.4Hz, 20도로 자극한 경우의 획득도는 각각 78.4%, 86.5%, 82.

2%, 그리고 77.2%로서 두 자극 모두에서 2군의 획득도가 가장 높았으며 2군과 4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단속운동 검사상 표적의 시야자극을 3-16 각도로 도약하였을 때 잠복시간(delay)은

좌측 단속운동(saccade)의 경우 1군부터 4군까지 각각 172.7 millisecond(이하: ms), 176

.9ms, 187.3ms, 그리고 201 9ms로서 4군과 1,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측 단

속운동의 경우 176.9ms, 167.8ms, 186.1ms, 그리고 212.6ms로서 노년층인 4군과 나머지

군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확도(accuracy)는 좌측의 경우 81,1%

에서 92.1% 사이에 분포하였고 우측의 경우 81.3%에서 90.5%사이에 분포하였으며 각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야자극을 6-32도로 도약하였을 때 잠복시간은 좌측 단속

운동의 경우 1군부터 4군까지 각각 162.4ms, 170.8ms, 192.9ms, 그리고 200.0ms로서 1군

과 3, 4군, 그리고 2군과 4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측 단속운동에서는 1군부

터 4군까지 각각 169,4ms, 176.5ms, 184.6ms, 그리고 206.5ms로서 2군과 4군 사이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정확도는 좌측의 경우 1군부터 4군까지 83.3%, 86.6%, 79.5%,

그리고 73.4%로서 2군과 4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측의 경우 83.6%, 85.7%,

79.2%, 그리고 72.4%로서 1, 2군과 4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3 종류의 시야자극으로 시각운동 안진을 검사하여 방향우위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자극에 대하여 노년층인 4군의 검사치가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청장년층인 2군과의 차이는

일관성있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각속도를 초당 40도, 표적간격을 10.24도로 하

여 자극하였을 때 방향우위성은 1군부터 각각 2.1%,1.7%, 1.3%, 그리고 3.9%로서 1, 2군

과 4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각속도를 초당 20도, 표적간격을 5.12도로 하였

을 경우에는 2.3%, 0.8%, 1.5%, 그리고 0.5%로서 2군과 4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또한 각속도가 초당 40도, 표적간격이 2.56도인 경우는 2.8%, 3.1%, 2.0%, 그리고 3.1%

로서 4군과 나머지 군들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전기안진 검사에서 얻어진 변수들이 대부분 연형의 영

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위의 모든 검사에서 남성과 여성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시야자극 유발안진 검사에서

연형군별 표준치를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또한 노년층에서는 노화에 따라 중추신경계

와 전정계의 형태해부학적 변화에 의해 평형기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이 연형층에서는 검사결과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기 위해서 연혁이라는 요소를 필

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영문]

Hystagm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in evaluation of vestibular

function. ENG(electronystagmography), one of the subjective method analysing

nystagmus, is capable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ystagmus as well as permanent

storage of results. Furthermore it has diagnostic value by measuring the velocity

of nystagmu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each laboratory must establish normative data for

their standard test protocol.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80 healthy Korean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and vestibular function and the subjects were

classfi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ages: 10 to 19(group1), 20 to 39(group 2),

40 to 57(group 3), and more than 60 years old(group4). Each group was composed of

10 men and 10 women respectively. All the subjects were tested for voluntary

saccade, smooth pursuit, and optokinetic nystagmus and their nystagmus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ages. The results were follows:

1) Smooth pursuit was performed at frequency of 0.2 Hz with velocity of 20

degree/second(deg/sec) and the results were fellows: Gain for 4 groups were 84.8%,

92.0%, 88.8% and 79.2%, respectively and group 2 shewed the highest valu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group 4.

Smooth pursuit was tested with 0.4 Hz, 40 deg/sec and the result of the gain was

73.2%, 81.2%, 71.1% and 69.8%,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among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ighest gain was found in group with young ag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group 4.

In the smooth pursuit study in which the frequency of 0.4 Hz at the velocity of

20 deg/sec was given, the gain in 4 groups showed 78.4%, 86.5%,82.2% and 77.2%,

respectively and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group 2.

2) The study of saccade was performed at the target frequency of 3-16 degree

jump(deb julep) fir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elay of lefts accade was

172.7ms, 176.9ms, 187.3ms, and 201.9ms, resepectively accordingnto 4, group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4, and group 1 and 2. In right

saccade, 4 groups revealed 176.9ms, 167.8ms.186.1ms and 212.6ms, respectively and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lderly group 4 and

other 3 groups. The accuracy of left and right saccade were distributed from 81.1%

to 92.1% and from 81.3% to 90.5%, respectivel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ach group.

Saccade was also tested with target velocity of 6-32 deb jump in 4 groups. Delay

of left saccade was observed as 162.4ms, 170.8ms, 192.9ms arid 200.0m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3, 4 and also group 2 and

group 4. Right saccade showed 169.4ms, 176.5ms, 184.6ms and 206.5ms,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4. The accuracy of left

saccade data showed 83.7%, 80.6%, 79.5% and 73.4%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2 and 4 was significant and right saccade showed 83.6%, 85.7%, 79.2% and 72.4%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1, 2 and 4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Optokinetic nystagmus was tested with 3 different visual stimuli and

directional preponderance was calculated in 4 groups.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elderly group, and thus the constant resul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 4 and 2 were observed. With 40 deg/sec. 10.24 degree spacing(dog

spac) stimulus, 4 groups showed 2.1%, 1,7%, 1.3% and 3.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 1, 2 and 4. Using 20 deg/sec, 5.12 deg spac

stimulus. each group revealed 2.3%, 0.8%, 1.5% and 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2 and 4. Finally when 40 deg/sec, 2.56 deg spac were

given to the groups, each group showed 2.8%, 3.1%, 2.O% and 3.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4 and three other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sex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ny test.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is Possibly to offer normative data with age for

electronystagmography and, by aging process, morphoanatomic changes in CNS and

vestibular system and their functional disturbance are to be clarified in the

elderly group. In the elderly group, we should consider the age as a essential

factor to differentiat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5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