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RAST Inhibition법으로 측정한 집먼지 진드기 항원 성분의 가옥내 분포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세규-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5:26Z-
dc.date.available2015-11-20T04:45:26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5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집먼지내에 분포하는 집먼지 진드기에는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pt)와 Derm atophagoies farinae(Dfa)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우리나라에서도 기관지 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알레르겐으로 알려져 있다.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집안의 장소 및 계절에 따라 집먼지 진드기의 수에 많은 차이 가 있으며, 또한 주어진 생활 공간에서 취침하는 사람들의 수와 집먼지 진드기의 알레르 겐 농도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내 주거 환경에서 집먼지내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성분의 분포 양 상 및 계절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1986년 8월 및 12월 그리고 1987년 5월, 7월 및 9 월 등 모두 5차례에 걸쳐 서울시내 20개 가정내 4-6장소(침구, 가구위, 가구밑, 창문틀, 소파 및 양탄자)에서 집먼지를 채취하여 RAST inhibition법을 이용하여 집먼지내의 Dpt 와 Dfa의 RAST inhibition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Torii사 제품인 Dfa 추출물 및 Pharmaci a사 제품인 Dpt 추출물(Pharmalgen (R))을 이용하여 만든 표준 RAST inhibition 곡선을 이용하여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의 농도를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집안내 집먼지 진드기의 알레르겐 농도(Dfa)는 1986년 8월 침구에서 105.65㎍/ml, 가구밑 22.98㎍/ml 및 창문틀 8.95㎍/ml순이었고, 소파 102.13㎍/ml의 Dfa 알레르겐 농도 는 침구와 비슷하였다. 2. 침구, 가구위 및 가구밑에서 Dpt 와 Dfa 의 평균 알레르겐 농도간에는 의미있는 차 이가 없었으나 침구에서는 20개 가정중 15개 가정에서, 가구위에서는 12개 가정에서 그리 고 가구밑에서는 11개 가정에서는 Dpt의 알레르겐 농도가 Dfa보다 높았다. 3. 계절적으로 Dfa 알레르겐 농도는 침구에서 1986년 8월이 가장 높았고, 1986년 12월 부터 1987년 5월까지 감소하다가 1987년 7월과 9월에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구위, 가구밑 및 창문틀등에서는 1987년 7월과 9월에 증가되지 않았으나 1986년 8월부 터 1987년 5월까지 침구와 유사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소파에서는 1986년 8월에 4개 가 정에서, 1986년 12월부터 1987년 9월까지는 8개 가정에서, 또한 양탄자에서는 1986년 12 월에 4개 가정에서, 1987년 5월부터 1987년 9월까지는 1개 가정에서 집먼지를 채취 조사 하였으며, 계절적 변화 양상은 침구와 유사하였다. 4. 보일러 가정(14곳)과 연탄 이용 가정(6곳)간에 Dfa 알레르겐 농도는 연탄을 많이 사 용하는 겨울철인 1986년 12월에 보일러 가정에서 13.57㎍/ml로 연탄 이용 가정의 17.19㎍ /ml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 5. 1986년 8월부터 1987년 9월까지 온도 및 비교 습도의 변화에 따른 침구 및 소파의 평균 Dfa알레르겐 농도는 온도 및 습도가 증가하는 여름에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서울시내 가정의 집먼지내에는 Dpt 및 Dfa의 알레르겐이 널리 본 포하며, 집안내에서는 침구 먼지에서 Dfa 알레르겐 농도가 가장 높았고, 계절적으로는 여 름철에 Dfa알레르겐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문] Two species of mite found in the house dust,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and dermatophagoides farinae, have been widely accepted as an important allergen contributing to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even in Korea Previous studies reported a seasonal variation and the differences in number of house dust mites in various sites of the house. also the literatures report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ergen concentration of house dust mite an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a space. In order to assess the distribution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house dust mite allergen in every day living environment of Korean homes, we have collected dust samples from various sites of 20 different houses(bedclothes, on and under the furniture, windowframes, sofa and carpet). The samples were obtained in Seoul during the month of August & December of 1986 and May & July & September of 1987. Using an inhibition radioimmunoassay of Dermatophagoides farinae(d2, Dfa)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1, Dpt), we hav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and calculated the allergen concentration using dilution curve of Dpt solution(1mg/ml of Pharmalgen (R) presented by Pharmacia Co.) and Dfa solution(1mg/ml of lyophilized extract presented by Torii C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fa allergen level(105.65㎍/ml) in bedcloth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lergen level found on the furniture(33.16㎍/ml), under the furniture(22.98㎍/ml), and on the windowframes(8.95㎍/ml) in August, 1986. And the Dfa allergen level (102.13㎍/ml) on sofa was similar to that of bedclothes. 2. The mean allergen concentrations of Dpt and Dfa in bedclothes, on and under the furni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though in 15, 12 and 11 houses of above mentioned sites, the allergen level of Dpt was higher than that of Dfa. 3. As for the seasonal variation, the Dfa allergen concentration in bedclothes was highest during the month of August of 1986 and then decreased until May, 1987. This seasonal increases of Dfa allergen concentration was not noted in the samples found on the furniture, under the furniture and on the windowframes of July and September, 1987, but from August, 1986 to May, 1987 a decreasing trend was noted resembling that of bedclothes. We were able to obtaine dust samples from sofas in only 4 houses in August of 1986 and then from 8 houses, and however the seasonal variation observed was similar to that of bedclothes. 4. The Dfa allergen concentration of bedclothes in oil heating homes(14 houses)was 13.57㎍/ml and in briquet heating homes(6 houses), 17.19㎍/ml in the dust samples of December, 1986 when heating system was regularly operat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se values. 5. In the comparison of mean Dfa allergen concentrations in bedclothes and sofa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rom time period of August, 1986 to September, 1987, the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highest in summ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llergens of D.pteronyssinus and D.farinae were equally important in 20 houses in Seoul and the bedclothes were the most abundant sources of mite allergens and the peak concentration of mite allergen was noted in summe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RAST Inhibition법으로 측정한 집먼지 진드기 항원 성분의 가옥내 분포상-
dc.title.alternativeDistribution of the house dust mites allergen in houses measured by RAST inhibition test-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602-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세규-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