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847

Cited 0 times in

임신이 prolactin 분비 뇌하수체선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Influence of pregnancies on prolactinomas 
Authors
 김상애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Prolactin 분비 뇌하수체선종(prolactinoma)은 고prolactin 혈증에 의하여 여성에 있어

서는 주로 월경장애, 유루증 및 불임증을 초래하며 이로 말미암아 과거에는 Prolactinoma

환자의 임신이 드문일이었다.

최근 prolactin의 방사면역측정법과 신경방사선 촬영술의 발달로 prolactinoma의 진단

이 용이하게 되고 경접형동 미세 절제술, 방사선조사 및 prolactin의 분비를 억제하는 br

omocriptine등의 약물치료를 하게 됨에 따라 prolactinoma 환자의 임신을 자주 볼 수 있

게 되었다.

임신이 prolactinema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주로 악화시킨 다는 보고가 많으나 일

부에서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저자는 1978년 1월부터 1984년 8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prol

actinoma로 진단된 후 임신한 환자 25예를 대상으로 임신 중 임상증상, 신경방사선학적

검사소견 및 혈청 prolactin치의 변동을 추적하여 정상임부 63예의 임신 주수에 따른 혈

청 prolactin치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군의 연령분포는 24세에서 41세였으며 평균연령은 31.4세 였다.

2. 주요증세는 불임, 유루증, 월경장애, 두통, 시야장애 및 체중증가등이었다.

3. 거대선종 환자의 혈청 prolactin 기저치는 미세선종 환자에서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다.

4. 치료 전의 혈청 pro1actin치와 월경이 회복될 때까지 필요한 bromocriptin의 일일용

량과 치료기간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5. Prolactinoma 환자의 임신 중 산과적인 합병증의 빈도는 정상임부에서 와 비슷하였

다.

6. 정상임부의 혈청 prolactin농도는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특히 임신말기

에 더욱 현저하였다. prolactinoma 임신 중 prolactin 농도는 각기 다양한 변동을 보였으

나 과반수에서 정상임부보다 높은 상태로 계속 증가하였다. 치료 전의 혈청 prolactin 농

도와 임신 중 최고치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임신 중의 prolactin 상승정도로 종양

의 팽대를 예측할 수 없었다.

7. 임신 전에 수술을 받은 거대선종 환자와 미세선종 환자에서는 임신 중에 특별한 합

병증이 유발되지 않았으나 수술을 받지 않은 거대선종 환자에서는 6예 중 1예에서 임신중

종양팽대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prolactin분비 뇌하수체선종 환자의 임신 중 혈청 prolactin의 측정은

종양의 팽대를 예측할 수 없고 미세선종 환자의 경우는 bromocriptine만으로 임신을 유도

하여도 안전하나 거대선종 환자에서는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에 임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Prolaotin-secreting pituitary tumors in women present with menstrual dysfunction,

galactorrhea, and infertility by hyperprolaotinaemia.

Availability of radioimmunoassay for prolactin, advanced techniques of

neuroradiology and transsphenoidal adenomectomy, and improved therapy with

irradiation and bromocriptine, inhibitor of prolactin secretion, have greatly

contributed to normalize reproductive function in hyperprolactinemic patients.

Twenty five pregnant women, who had been treated for prolactinoma at Yonsei

Univarsity Severance Hospital from 1978 to 1984, were evaluated clinically,

neuroradiologically, and endocrinolog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regnancy on prolactinoma.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ers:

1.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as between 24 and 41 years. The mean age was

31.4 years.

2. Chief conplaints were infertility, galactorrhea, menstrual dysflnction,

headache, visual disturbance, and weight gain.

3.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s in macroadenom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mioroadenomas.

4.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initial prolactin concentrations and dosage

of bromocriptine to suppress prolactin secretion or time interval for restoration

of menstruation.

5. The rate of obstetr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prolactinoma was within

normal ranges.

6.Serum prolactin levels gradually rose throughout the normal pregnancy, the rise

being more prominent in the third trimester while during pregnancy of prolactinoma

patients serum prolactin levels varied considerably and more than 50% of patients

studied showed higher prolactin levels than those during the normal pregnancy.

7.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basal and peak serum prolactin

concentrations during pregnancy. The tumor growth could not be predicted by the

magnitude of prolactin concentrations during pregnancy.

8. Tumor expansion during pregnancy occurred in one of six macroadenomas but none

in microadenomas.

It might be,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frequency of serious complication such

as tumor expansion is low during the pregnancy of prolactinoma patients and the

extent of tumor growth could not be predicted by the magnitude of prolactin

concentrat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5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