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34

Cited 0 times in

유암의 임상적고찰 및 원격성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래-
dc.date.accessioned2015-11-20T04:32:47Z-
dc.date.available2015-11-20T04:32:47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3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유암은 주로 여성의 질환으로서 그 발생빈도가 높아 미국에서는 전체여성암 중 수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암협회 보고(1975)에 의하면 자궁암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양상과 식생활이 서구식으로 개선됨에 따라 그 발생빈도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의학의 기계 및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유암의 수술후 생존율은 과거와 비교하여 별다른 진전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다른 장기의 종양이 그러하듯 유암의 원인 역시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아직 뚜렷이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조기발견과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Lewison(1980)은 유암도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조기진단 및 치료가 생존율에 영창을 수며 유암을 전신적 질환으로 인식하여 보존적 수술식과 보존적 병용요법으로 치료하며 호르몬 수용체를 이용한 치료선택 및 예후판정을 하고 수술후 성형술 및 재활에 관심을 가질 것을 보고한 바 있다. 유암치료법에 대해서는 수술후의 원격성적과 외관을 고려하면서 여러가지 수술요법과 보조적 요법이 발달되었다. 즉 Halsted(1890-1891), Meyer(1894)가 각자 근치유방절제술을 시도한 이래 Mcwhirter(1948, 1949)의 단순유방절제술과 병행한 방사선요법, Urban 및 Castro(1971)의 확대근치유방절제술, Pater(1963)의 변형근치유방절제술등의 수술법이 소개되었으며, estrogen호르몬이 유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증명되어 난소적출술, 부실적출술, 뇌하수체적출술, 호르몬요법 등이 개발되었으며, 보조적요법으로 방사선요법과 더불어 항암화학요법으로 원격성적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국소재발을 감소시키고 전이시의 증상을 호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유암의 임상적고찰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유암의 원격성적에 대한 보고는 민등(1966), 이등(1971), 황등(1978)의 몇몇 보고에 불과하다. 전주예수병원에서는 1963년부터 암환자 등록제를 실시하여 그에 대한 추적조사를 계속적으로 시행하여 유암환자의 원격성적을 관찰할 수 있어 저자는 등록된 유암환자중 1966년부터 1976년까지만 11년간 병상기록을 이용할 수 있었던 160예에 대해서 연령 및 성별분포, 임상증세, 병력기간, 발생부위. 병리학적소견, TNM system에 의한 병기별구분, 액와 임파선전이 및 원격전이, 수술방법 및 보조요법 등을 분석하였으며, 수술후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3예(99.2%)에 대하여 병기별 원격성적과 수술단독요법, 수술후 방사선 병용요법의 원격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암의 발생빈도는 전체 여성 암환자 중 6.5%였다. 2) 유암의 호발연령은 40대가 37.5%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47.8세였다. 3) 호발부위는 외상부가 45.6%로 가장 많았고 중앙부가 19.4% 내상부가 16.3%였으며, 그외 외하부, 내하부의 순서였고 양측성도 3예가 있었다. 4) 유암 160예에 대하여 TNH분류로 병기분류를 한 결과 병기Ⅳ기가 43.1%로 가장 많았고 병기Ⅲ기는 21.9%, 병기Ⅰ, Ⅱ기는 각각 20%, 15%였다. 5) 근치유방절제술은 84예(67.7%), 단순유방절제술은 16예, 변형근치유방절제술이 10예, 확대근치유방절제술이 5예, 그 밖에 절제생검 6예, 종피제거술이 1예, 양측단순유방절제술이 1예, 한측 근치유방절제술과 반대측 단순유방절제술이 1예였으며 수술로 치료받은 124예중 보조요법이 병행되었던 경우가 85예였는데 이중 83예(97.6%)에서 방사선치료가 병용되었다. 6) 원격추적조사는 수술받은 환자 124예중 123예(99.2%)에서 가능했는데 5년생존율은 49.3%였다. 이중 병기Ⅰ기가 90%, 병기Ⅱ는 76.9%를 나타냈다. [영문] The clinical observation was performed on 160 cases of breast cancer from 1966 to December. 1976 at Cancer Registry of Presbyterian Medical Center, Jeonju, Korea.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cluding late results provided following results. 1) Breast,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female, comprising 6.5%. 2)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age group of 40 to 49, comprising 37.5%. The extreme of age was represented by the age of 23 and 84 and mean age was 47.8. 3) The most frequent site of the breast cancer was the upper outer quadrant (45.6%), and followed by the central quadrant (19.4%), upper inner quadrant (16.3%), the lower outer (8.8%), and lower inner quadrant (4.3%)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re were 3 cases (1.9%) of simultaneous bilateral cancer. 4) According to TNM system. The most common stage was Stage Ⅳ, 43.1%, and Stage Ⅲ, 21.9%, Stage Ⅰ, 20.0% and Stage Ⅱ, 15.0% in the order of frequency. 5) Standard radical mastectomy was performed on 84 cases, 67.7%, and simple mastectomy on 16 cages,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n 10 cases, extended radical mastectomy on 5 cases, excision biopsy only on 6 cases lumpectomy on 1 case, and bilateral mastectomy on 2 cases. Adjunctive treatment was employed on 93 cases (58.1%), and roost of them were irradiated. 6) Long term follow-up was successful, in 123 cases (99.2%) after surgery. Its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49.3%, but Stage Ⅰ was 90.0% and Stage Ⅱ was 76.9%.-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유암의 임상적고찰 및 원격성적-
dc.title.alternativeClinical analysis and late results of breast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294-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3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ung Ra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경래-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