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836

Cited 0 times in

소화기암에 있어서 각종 종양표식자의 임상적 의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혁문-
dc.date.accessioned2015-11-20T04:32:31Z-
dc.date.available2015-11-20T04:32:3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2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Abelev (1963년)에 의해 alpha fetoprotein (AFP)이 종양표식자로 밝혀지면서 혈중 종양표식자는 소화기암의 진단 및 치료경과 판정에 있어서 하나의 보조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위양성율이 비교적 높고 종양의 범위 및 상태 그 예후와의 낮은 상관 관계로 인해 임상적 적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하이브리도마(hybridoma) 기술에 의한 단세포군 항체 생산의 확립(Kohier 등, 1975)으로 종양 표식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단세포군 항체생산기술을 이용한 암세포와 당쇄 항원에 대한 19-9 (CA19-9) 세포군 항체생산(Koprowski 등, 1979), embryonal cole&mic epithelium에서 추출된 당단백질에 대한 단세포 항체인 CA125(Bast등,1981) , 그리고 혈청 ferritin 중 "Carcinofetal ferritin"의 존재 증명(Alpert등, 1973)에 의해 종양 표식자로의 ferritin이 임상적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저자는 1986년 12월부터 1987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영동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였던 환자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각종 소화기암 100예, 기타악성조양 5예, 소화기 양성질환 45예와 정상 대조군 20예를 대상으로 각종 종양표식자인 AFP, carcinoembyonic antigen(CEA), CA19-9, CA125, 그리고 ferritin을 측정하여 각질환에 따른 예민도, 특이도 및 이들의 조합이 암진단율을 높일 수 있는지를 평가하여, 그 임상적 의의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청 APP의 전체 소화기암에서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31% ,75.6%였으며, 특히 원발간암에서 77.8%의 민감도와 56%의 특이도를 보여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에 의한 위 양성율은 다소 높았으나, predictive value of true positive (PV+) 및 predictive value of true negative (PV-)는 90.3%, 89.2 %로 진단적 유용성을 보였다. 2) 혈청 CEA의 전체 소화기암에서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53.0%, 75.6%였으며, 특히 위암 60.7%, 100%, 대장, 직장암 90.9% ,75.0%, 췌장암 73.9%, 90.0%,담도암 62.5%, 50%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그러나 PV+는 위암에서 31.5%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학적 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V-는 식도암 및 대장, 직장암 98.0%, 췌장암 92.2%,그리고 담도암 94.1%로 소화기 암에서의 높은 특이도를 보였다(P<0.05). 3) 혈청 CAl9-9의 전체 소화기암에서 민감도 및 특이도는 43.0%, 77.3%였으며, 특히 췌장암 86.7%, 80.0%, 87.5%, 50.0%를 보였고, 간담도계 양성질환에서 전예의 위 양성율을 차지하였다. PV+는 소화기암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V-는 담도암 98.4%, 식도암 및 췌장암에서 96.7%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혈청 CA125의 전체소화기암에서 민감도는 34.0%, 75.6 %였으며 특히 원발성간암 50.0%, 68.0%, 췌장암 40.0%, 70.0%로 간·췌장 담도 악성질환에서 높았으나, 간 ·췌장 양성질환에서 (간경변증 8예, 급성, 만성췌장암 3예) 의한 위양성율 또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소화기암에서 PV+는 원발성간암이 50%로 가장 높았으나, PV-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혈청 ferritin치는 소화기암중 위암과 대장, 직장암을 제외한 악성종양과 기타 악성종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5), 원발성간암인 경우 양성간질환(간경변증 및 만성간염)과 비교할때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가지고 증가하였다(P<0.025). 그러나 전체 소화기암에서의 ferritin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65.0%, 44.4%로 양성간질환 및 담도 폐쇄에 의한 위양성율이 높았다. 6) 종양 표식자중 CEA, CAl9-9, CA125, 그리고 ferritin에서 국소암과 전이암에서 유의한 혈청농도의 차이를 보였고(p<0.005), 또한 전이암에서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7) 각종 소화기암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른 종양표식자를 조합하여 암진단율을 평가하였을 때, 식도암에서는 어떤 종양표식자의 조합도민감도와 특이도를 올릴 수 없었고, 위암에서는 CEA, CAl9-9, CEA·CAl9-9, ferritin의 조합이 민감도를 각각 71.4%, 특이도를 100%, 75%로 민감도를 올릴 수 있었으나 특이도는 올릴 수 없었고, 대장·직장암에서는 CEA와 어떤 종양표식자도 민감도와 특이도는 올릴 수 없었고, 원발성간암에서는 AEP.C A125 APP.ferritin, AFP.CA125. ferritin의 조합이 민감도를 각각 91.7%, 97.2%, 100%, 특이도를 26.7%, 20.0%, 13.3%로 민감도를 높일 수 있었으나 특이도는 올릴 수 없었다. 췌장암에서는 CEA·CAl9-9, CEA·CAl9-9. CA125의 조합이 민감도를 각각 93.3%, 100%,특이도를 70%, 60%로 민감도를 높일 수 있었으나 특이도는 올릴 수 없었다. 또한 담도암에서도 CEA.CAl9-9의 이중 조합만이 민감도 87.5 %,특이도 50%로 민감도를 올릴 수 있었으나 특이도는 올릴 수 없었다. [영문] The discovery of alpha-fetoprotein in 1963 by Abelev started a new era of cancer marker research. Tumor markers, which may be oncofetal or tissue associated amtigens, homones, or enzymes have been described for a variety of malignancies. But antisera against such markers have had linited diagnostic value, primarily because of unacceptably high false positive rates, especially among patients with benign disease. They are also seldom elevated in localized alimentary tract cancer,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cancerous tissue and normal tissue is quan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Nevertheless, assay for tumor marker such as carcinoembryonic antigen(CEA), alpha-fetoprotein(AEP) are useful as noninvasive tests in monitoring cancer patients to detect tumor recurrence, or assess therapy. Monoclonal antibody technology using the procedure of hybridization has given new hope for developing improved methods to define and quantify tumor markers by Kohler et al. Monoclonal antibodies with reported specificity for several major classes of tumor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1116 NS19-9 (CA19-9) prepared by Koprowski et al and OC125(CA125) prepared by Bast et al. The serum levels of tumor markers (AFP, CEA, CA19-9, CA125, ferrrtin) were examined in 100 patients with alimentary tract cancers, in 45 patients with corresponding benign con-ditions of the alimentary tract, in 5 patients with other malignancies and in 20 normal persons. The author evaluat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tumor marker and their combinations. The fe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ncentrations and sensitivities of AEP in patients with hepatoma, CEA. in patients with gastric, colorectal, pancreatic cancer and cholangiocarcinoma, compared with normal healthy persons, patients with benign lover disease (chronic hepatitis, lover cirrhosts) and patients with corresponding benign conditions of the alimentary tract (p < 0.05). There were also significant 야fferences in concentration and sensitivity of ferritin between patients with hepatoma and benign lover disease (p<0.025). There was detectable Increase In CA125 serum level and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hepatobiliary malignancy but was of low specificity due to benign conditions involving the hepatobiliary system. 2. In alimentary tract cancers with metastasis, the serum levels and sensitivities of CEA, CAl9-9, CA125 and ferriti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Localized cancers(p<0.005). 3. The most excellent combinations for elevating sensitivities were CEA. CA19-9 and CEA. CA19-9. ferritin for stomach cancer, AFP. CA125 or AFP. ferritin and AFP. CA125. ferritin for hepatoma, CEA.CAl9-9 and CEA. CAl9-9, Ca125 for pancreatic cancer and CEA. CAl9-9 for cholangiocarcinoma, but no one combination could elevate the specificities. And in colorectal cancer 1 CEA was the only significant tumor marke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소화기암에 있어서 각종 종양표식자의 임상적 의의-
dc.title.alternative(The) clinical significance of various tumor markers in digestive canc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260-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91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on, Hyuck Mo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권혁문-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