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5 908

Cited 0 times in

신경외과적 뇌질환을 지닌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Authors
 주봉림  ;  심규원  ;  김동석  ;  송동호  ;  신의진  ;  엄소용 
Citation
 Korean Journal of Infant Mental Health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1) : 1-16, 2010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Infant Mental Health(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Issue Date
2010
Keywords
quality of life ; pediatric neurosurgical disease ; social functioning ; school functioning ; psychological intervention ; 삶의 질 ; 신경외과 질환 ; 사회기능 ; 학습기능 ; 심리학적 서비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외과적 질환을 진단받은 학령기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판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K-WIPPSI),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K-WISC-III)와 한국판 삶의 질 검사(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TM 4.0 Generic core Scales)를 사용하였다. 서울소재 대학병원에 신경외과 질환을 주호소로 내
원한 만 6세에서 15세에 해당하는 학령기 아동 중 심리평가에 의뢰된 환아와 보호자 5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신경외과 질환 환아의 삶의 질은 일반 또래 학령기 아동에 비해 낮은 수
준이었지만, 만성질환 환아의 삶의 질과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삶의 질과 부
모가 지각한 아동 삶의 질 전체 평균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부모와 학령기 아동 모두 대인
관계 기능에서의 만족도를 가장 높게 보고하였고, 학습 기능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대상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삶의 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지능과 수술적 처치 같
은 임상적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던 대인관계 기능에
서의 만족도가, 수술적 처치를 받은 환아군에서는 환아와 부모 모두에게서 수술적 처치를 받지 않은 환
아와 부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학업기능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게 나타났다. 신체 기능
과 정서적 기능에서는 수술적 처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신경외과
질환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학적 서비스와 더불어 사회성 증진 훈련, 학습 치료적 개입, 부모교
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심리학적 서비스의 통합적 개입과 계획 수립이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의미
있는 과정임이 시사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2010059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 1. Journal Paper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Yonsei Authors
Kim, Dong Seok(김동석)
Song, Dong Ho(송동호)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647-3130
Shin, Yee Jin(신의진)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8573-4342
Shim, Kyu Won(심규원)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441-7354
Eom, So Yong(엄소용)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032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