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496

Cited 0 times in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 on the migr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윤정-
dc.contributor.author이대실-
dc.contributor.author차정헌-
dc.date.accessioned2014-12-21T17:33:25Z-
dc.date.available2014-12-21T17:33:2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issn0250-335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97814-
dc.description.abstract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는 1) 혈관을 통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골표면 이동 및 2) 골표면에서 파골세포 전구세포로부터 파골세포 분화 두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Stromal cell derived factor 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화학주성인자이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 분해효소이다.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골표면 이동에 있어서 LPS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E. coli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comitans LPS의 1) 파골세포 전구세포 유도능, 2) LPS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있어서 MMP 및 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LPS에 의한 차골세포 전구세포의 RAW 세포의 이동은 matrigel 또는 type I collagen을 도포한 transwell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MMP-9 및 의 발현은 RT=PCR 또는 ELISA로 평가하였다. 각 세균의 LPS는 matrigel 또는 type I collagen을 통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MMP 억제제는 각 세균의 LPS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LPS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MMP-9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각 세균의 LPS는 마우스 두개골에서 분리한 조골세포의 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을 함유한 LPS 처리 조골세포 배양상층액은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증가시켰으며 anti Ab는 LPS처리 세포 배양상층액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LPS가 파골세포 전구세포에서는 MMP-9을 조골세포에서는 의 발현을 증가시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extent23~33-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 on the migr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dc.title.alternativeLipopolysaccharide가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
dc.contributor.googleauthorHee Young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Dae-sil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Yun-jung Yoo-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g-heon Cha-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2490-
dc.contributor.localIdA04007-
dc.relation.journalcodeJ0149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Yun J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ae S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 Jung He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Yoo, Yun J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a, Jung Heon-
dc.rights.accessRightsfree-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3-
dc.citation.endPage3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Vol.37(1) : 23-33, 2007-
dc.identifier.rimsid47726-
dc.type.rimsART-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