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44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Immediate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drain CEA level can aid in recurrence prediction in rectal canc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지-
dc.date.accessioned2025-04-18T05:07:12Z-
dc.date.available2025-04-18T05:07:12Z-
dc.date.issued2024-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5043-
dc.description.abstractColorectal cancer (CRC) remain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mortality globally, with distant metastasi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poor outcomes post-surgery. Current diagnostic markers, such a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ack sufficien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used alon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CEA levels in postoperative drainage fluid as a prognostic indicator for CRC recurrence.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319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CRC between July 2014 and November 2018. Patient demographics, perioperative outcomes, and CEA levels in serum and drainage fluid were analyzed. Recurrence-free survival (RFS) was assessed based on CEA levels. Elevated CEA levels in postoperative drainage fluid within the first da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recurrence risk (OR 3.10, 95% CI 1.54-6.24, p=0.002). Lymph node metastasis and minimally invasive surgery were also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Rectal cancer patients showed a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elevated postoperative CEA and recurrence compared to colon cancer patients. Monitoring postoperative CEA levels, particularly in rectal cancer patients, may aid in identifying those at higher risk of recurrence, warranting closer surveillance. Comparison of different patterns of CEA elevation over time revealed varying recurrence rates, emphasizing the potential utility of serial CEA measurements. Elevated CEA levels in postoperative drainage fluid, especially within the first day,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ecurrence risk in CRC patients. Incorporating postoperative CEA monitoring into surveillance strategies may enhance recurrence detection and patient management, particularly in rectal cancer ca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alidate findings and establish optimal cutoff values for clinical use. 결장 및 직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전히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원발암의 근치적 수술 이후의 원격전이 및 재발을 들 수 있습니다. 현재 결장 직장암 환자의 추적관찰에 활용되는 진단 바이오마커인 carcinoembryonic antigen (CEA)는 혈청에서 측정한 수치를 기준으로 (sCEA) 단독으로 사용할 때 민감도 및 특이도가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꼽을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 바이오마커나 대체 검사 방법 등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의 수술 후 재발의 예후 지표로서 수술 후 배액되는 체액에서 측정한 CEA 수치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습니다. 2014년 7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결장 및 직장암에 대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3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통해 기본 특징, 수술관련 결과, 수술 후 재발 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주로는 복강 내 체액의 CEA 수치 (pCEA) 과 재발율, 생존율 (recurrence-free survival) 등을 분석하였습니다. 수술 후 1일 이내에 측정된 CEA 수치는 재발 위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OR 3.10, 95% CI 1.54-6.24, p=0.002). 다변량 분석에서 림프절 전이 및 최소 침습수술 또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sCEA 와의 연관은 본 연구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습니다. 직장암 환자들만 따로 분석한 결과 결장암 환자들보다 수술 후 pCEA 증가와 재발 간의 강한 관련성을 보였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수술 후 배액관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복강 내 체액에서의 CEA 수치 측정 값은 (pCEA) 1일 이내에 상승을 보이는 경우 직장암의 재발 위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재 쓰이는 수술 전 측정된 sCEA의 수치보다 더 유용한 예후 인자로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Immediate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drain CEA level can aid in recurrence prediction in rectal cancer-
dc.title.alternative수술 직후 복강 내 체액에서 관찰된 종양표지자 CEA의 수치와 직장암의 근치적 수술 후 재발과의 연관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Eunj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