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48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Efficacy of drugs in treating endometriosis-associated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25-04-18T05:07:02Z-
dc.date.available2025-04-18T05:07:02Z-
dc.date.issued2024-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4986-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Endometriosis affects about 10% of reproductive age women and exert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such as endometriosis-associated pains. There are published literatures that explor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endometriosis treatments using traditional pairwise meta-analysis. However, this approach has limitations on comparing treatment classes or a wide range of individual treatment, if there is no direct comparison in the trial. In addition, there are only few well-designed studies to compare the efficacy and results are controversial. The aim of the study is to perform a network meta-analysis on the efficacy of both treatment classes and individual treatments and to provide optimal options to select treatments for improving endometriosis-associated pains: non-menstrual pelvic pain (NMPP), dysmenorrhea, and dyspareunia. Method PubMed, Embase,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were searched for published studies reporting pain scores of NMPP, dysmenorrhea, and dyspareunia assess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until 13 Aug 2023. The primary outcome was mean difference of pain scores between the baseline and 24 weeks of treatment period measures and 95% credible intervals (CrI) were used to describe efficacy. A Bayesian network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fficacy outcomes. Pair-wise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for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Our NMA included thirteen RCTs for the evaluation of improving NMPP, dysmenorrhea, and dyspareunia. GnRH agonist was associ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dysmenorrhea when compared with OCP.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bserved in treatment classes and individual treatment for both NMPP and dyspareunia. GnRH-addback was the first ranking treatment class for NMPP reduction while goserelin was the highest-raking individual treatment. GnRH agonist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reduction was the first ranking treatment class while leuprorelin was the highest-ranking individual treatment. For improving dyspareunia, anti-estroprogestin and gestrinone were the best ranking treatment class and individual treatment, respectively. Heterogeneity calculated in NMA and the evidence that no publication bias existed were verified by sensitivity analyses. Conclusion The efficacy outcomes showed that GnRH agonist significantly improved dysmenorrhea at 24 weeks of treatment period. 연구 배경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 중 약 10%에서 나타나며, 자궁내막증의 주요 증상인 통증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만성 질환이다. 자궁내막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비교가 없는 경우 약물 계열별 또는 약물별로 다양하게 비교하는 데 제한이 있으며, 임상시험 디자인의 적절성과 일관성이 없는 연구 결과에 대한 의문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자궁내막증 증상인 비월경 골반 통증, 월경통, 성교통을 개선하는 치료 효과를 약물 계열별 및 약물별 비교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PubMed, Embase, 및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으로 비월경 골반 통증, 월경통, 성교통이 VAS로 측정되어 2023년 8월 13일까지 보고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유효성 평가변수는 기저치 대비 24주 치료 기간 시점의 비월경 골반 통증, 월경통, 성교통 통증 점수의 평균 차이이며, 95% 신용구간 (CrI)도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유효성 평가를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메타분석 및 민감도 분석을 위한 pair-wise 메타분석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본 네트워크 메타분석에 총 13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GnRH agonist가 OCP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월경통 개선을 보였다. 비월경 골반 통증 및 성교통 완화를 위한 약물들은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비월경 골반 통증 감소와 관련하여 GnRH agonist가 약물 계열 1위, goserelin이 약물별 비교에서 1위로 확인되었다. 월경통 감소 치료제로 GnRH agonist가 약물 계열 1위, leuprorelin이 약물별 비교에서 1위였다. 또한, 성교통 개선에는 anti-estroprogestin과 gestrinone이 약물 계열별, 약물별 비교에서 각각 1위로 선정되었다. 네트워크 메타분석에 적은 수의 연구가 포함되어 이질성 수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는지 검정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출판편향의 증거는 없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과대 또는 과소 추정되었을 가능성은 낮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GnRH agonist는 OCP보다 기저치 대비 24주 시점 월경통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Efficacy of drugs in treating endometriosis-associated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dc.title.alternativeEndometriosis-associated pain치료약물의 유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네트워크 메타 분석-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