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5

Cited 0 times in

Breastfeeding continuation and its determinants : A cross-sectional study of Malawian mother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Two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ABSTRACT The first 1,000 days of a person’s life, from conception to age two, are the most vital for children's development, representing an essential investment. Breastfeeding contributes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 prolonged impact on their health and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country. Like many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Malawi has exhibited a high prevalence of breastfeeding practices, including early initiation, exclusive breastfeeding, and complementary breastfeeding. Despite the progress made through continuous efforts and interventions by the government and its partners, recent national surveys have indicated a decline in breastfeeding practices. The study aims to identify and explore the determinants of breastfeeding continuation practices among Malawian women with children under two. Method: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Malawian mother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two, using 2019/20 data from the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MICS). The study’s outcome variable was the status of a child under two years still being breastfed by its mother, with potential explanatory variables categorized as socio-demographics, obstetrical and maternal health factors, and chil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was based on a sample size of 4,104 women with children under two years. The study employed Jamovi softwa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variable associations, and logistic modeling. Results: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ontinuing breastfeeding practices were the child’s age, mother's age, mother's education, mother's marital status or living with a partner, household wealth, postnatal visits, introduction to foods, area, and region of residency.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children aged 6-11 months (OR =3.89, CI. 1.01-14.98) and 12- 23 months (OR = 7.78, CI. 1.93-31.29) were more likely to continue breastfeeding. However, women who are not married or do not live with partners (OR=0.63, CI. 0.47-0.83) had lower chances of continuing breastfeeding. Women from low (OR=1.53, CI. 1.00-2.34) and middle income (OR=1.54, CI. 1.05-2.27) were more likely to continue practicing breastfeeding, similarly to rural women (OR=2.25, CI.1.56-3.25) and central region women (OR=1.46, CI. 1.02-2.08).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highlight a forum for programming at both national, community, and individual levels in Malawi. Although distal factors mainly identified determinants of breastfeeding continuation in the study, it recognizes intermediate and proximal determinants' role in the practice, framing room for sustaine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messaging, and awareness for the community in recognition of social elements and local structures in promoting desired health outcomes.
배경: 임신에서 두 살까지 한 사람의 생애 첫 1,000일은 아이들의 발달에 가장 필수적이며, 이는 필수적인 투자이다. 모유 수유는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며, 그들의 건강과 국가의 경제적 이익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많은 중저소득 국가들(LMIC)과 마찬가지로, 말라위는 조기 모유 수유, 독점적 모유 수유 및 보완적 모유 수유를 포함한 모유 수유 관행이 널리 퍼지 있다. 정부와 파트너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개입으로 이루어진 진전에도 불구하고, 최근 전국적인 조사에 따르면 모유 수유 관행이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2세 미만의 아이를 가진 말라위 여성들의 모유 수유 지속 관행의 결정 요인을 확인하고 탐구하는 것을 목표 이다. 방법: MICS(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의 2019/20 데이터를 사용하여 2세 미만의 자녀를 둔 말라위 어머니를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변수는 2세 미만의 자녀가 여전히 어머니로부터 모유 수유를 받고 있는 상태이며, 잠재적 설명 변수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 산부인과 및 산모 건강 요인, 아동 특성으로 분류되었다. 분석은 2세 미만의 자녀를 둔 여성 4,104명의 표본 크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기술 통계량, 변수 연관성 및 로지스틱 모델링을 위해 Jamov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모유 수유를 지속하는 것과 관련된 중요한 연관성은 자녀의 나이, 어머니의 나이, 어머니의 교육, 어머니의 결혼 상태 또는 파트너와 함께 사는 것, 가구의 부, 산후 방문, 음식에 대한 소개, 지역 및 거주 지역이었다. 다른 변수를 조정하면 6-11개월(OR = 3.89, CI. 1.01-14.98)과 12-23개월 (OR = 7.78, CI. 1.93-31.29)의 자녀가 모유 수유를 지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러나 결혼하지 않았거나 파트너와 함께 살지 않는 여성(OR = 0.63, CI. 0.47-0.83)은 모유 수유를 지속할 가능성이 더 낮았다. 농촌 여성(OR = 2.25, CI.1.56-3.25)과 중부 지역 여성(OR = 1.02-2.08)과 마찬가지로 낮은 소득 (OR = 1.53, CI.1.00-2.34)과 중간 소득 여성(OR = 1.54, CI.05-2.27)이 모유 수유를 지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결론: 연구 결과는 말라위의 국가, 지역 사회 및 개인 수준 모두에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포럼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모유 수유 지속의 결정 요인을 식별했지만, 중간 및 근위결정 요인의 관행 역할을 인식한다. 이들이 원하는 건강 결과를 촉진하는 데 있어 사회적 요소와 지역 구조에 필요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목표 메시지 및 사회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만든다
Files in This Item:
T01619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47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