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먹방‧쿡방 시청과 체중 조절 행동의 관계에서 신체이미지 왜곡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바탕으로
Other Titles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image on the relationship of Mukbang viewing and weight managing behavior in adolescent : based on 2022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Authors
권서현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연구 배경 : 우리나라 청소년의 섭식장애 유병율은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먹방‧쿡방 시청은 비만 또는 식욕 제한으로 이어지며 부적절한 식이 습관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미디어 특성상 신체이미지 왜곡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부적절한 체중조절 시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먹방 시청과 체중조절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고 신체이미지 왜곡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먹방 소비 및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고찰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2023 청소년 건강행태조사>에서 최종적으로 수집된 51,850개의 응답 데이터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제 18차(2022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하여 대한민국 청소년의 먹방‧쿡방 시청이 체중조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이미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체중조절행동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 우리나라 청소년의 먹방‧쿡방 시청과 신체이미지 왜곡, 체중조절행동 사이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먹방‧쿡방 시청이 신체이미지 왜곡을 강화시키며, 신체이미지 왜곡이 심할수록 체중조절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먹방‧쿡방 시청과 신체이미지가 갖는 매개 효과를 유의미하게 보기 어렵고 해당 연구에서 사용된 청소년건강생태조사에서는 전후, 인과관계에 대한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 연구의 결과에 따라 청소년들이 올바른 먹방‧쿡방 시청을 통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 형성을 도모하고,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건강한 신체이미지 확립을 위한 인지 치료를 통해 불건강한 체중조절행동을 개선하고, 먹방‧쿡방 시청이 섭식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섭식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의학적 접근을 제언한다. 먹방‧쿡방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청소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건강한 미디어 소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만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서 먹방, 쿡방에 대한 문항은 2022년에 도입되었으며 향후 추가적인 통계자료의 획득과 변화 양상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dolescents' watching mukbangs, weight control behavior, and body image, and to consider and present suggestions on mukbang consumption and adolescent health behavior. Target and method: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from the 2022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publish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analyzed. The effect of watching Korean adolescents' eating and cooking shows on weight control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image were analyzed, an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measures to improve the weight control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atching mukbangs and cookbangs, distor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mong Korean youth, which means that watching mukbangs and cookbangs reinforces body image distortion, and the more severe body image distortion, the more weight control behavior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see the mediating effect of watching mukbangs and cookbangs and body images meaningfully,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as data on causal relationships are not collected.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listen to educational programs so that adolescents can form eating and living habits through watching proper mukbangs and cookbangs, and positively recognize body image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 a new medical approach to eating disorders by improving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through cognitive therapy that creates a healthy body image and grasping the effect of watching mukbangs and cookbangs on eating problems. Education on healthy media consumption is needed so that the new culture of mukbangs and cookbangs can look at the impact on the health of adolescents from various aspects and improve related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