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Primus-HD®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적 결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임-
dc.contributor.author서경률-
dc.contributor.author전익현-
dc.date.accessioned2024-01-03T00:13:38Z-
dc.date.available2024-01-03T00:13:38Z-
dc.date.issued2023-09-
dc.identifier.issn2384-091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197-
dc.description.abstract목적: 백내장 수술 시 Primus-HD® 인공수정체와 ARTIS® PL E IOL을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1년 4월 19일부터 2022년 11월 30일까지 ARTIS® PL E (A군) 또는 Primus-HD® (B군) 인공수정체로 백내장 수술을받은 151명의 환자 242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교정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과 수술, 외상의 과거력 또는 동반된안과 질환이 있는 눈은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A군 69안, B군 36안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3개월 시점에서 logMAR 나안시력(A군과 B군에서 각각 0.15 ± 0.17 및 0.17 ± 0.18, p = 0.60)과 최대 교정 원거리logMAR 시력(A군과 B군에서 0.03 ± 0.06 및 0.02 ± 0.05)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중간 거리 및 근거리 나안 시력, 구면렌즈 대응치 및 myopic shift도 두 그룹 간에 유사했다. Barrett Universal II 및 Haigis 공식의 절대오차값은 A군에 비해 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수술 후 3개월 시점에서 두 그룹의 고위 수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Primus-HD®를 사용한 백내장 수술의 수술 후 원거리 최대 교정시력 및 나안 시력, 고차 수차 결과는 기존에 임상 효과 및안정성이 검증된 ARTIS® PL E의 결과와 유사했으며, 예측력 측면에서는 더 우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콘택트렌즈학회-
dc.relation.isPartOf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검안 및 콘택트렌즈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Primus-HD®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적 결과-
dc.title.alternativeClinical Results of Cataract Surgery Using the Primus-HD® Intraocular Lens-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현진-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태임-
dc.contributor.googleauthor서경률-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익현-
dc.identifier.doi10.52725/aocl.2023.22.3.98-
dc.contributor.localIdA01080-
dc.contributor.localIdA01870-
dc.contributor.localIdA03541-
dc.relation.journalcodeJ03709-
dc.identifier.eissn2384-0927-
dc.subject.keywordCataract-
dc.subject.keywordCorneal wavefront aberration Intraocular lens-
dc.subject.keywordPhacoemulsific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 Im-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태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서경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전익현-
dc.citation.volume22-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98-
dc.citation.endPage10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검안 및 콘택트렌즈학회지), Vol.22(3) : 98-104, 2023-09-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