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168

Cited 0 times in

Age-stratified association between isolated diastolic hypertension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Results from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stud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지연-
dc.date.accessioned2023-12-20T16:40:40Z-
dc.date.available2023-12-20T16:40:40Z-
dc.date.issued2022-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166-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There has been debate on benign outcomes and age-related results in people with isolated diastolic hypertension (IDH).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age-stratified association between IDH and increase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n a cross-sectional design. Methods: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cohort baseline data was used. People with a medical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heart failure, stroke, or cancer within 2 years were excluded. From the initial number of 8,097 aged 30 to 64 years (2,808 men and 5,289 women), (ⅰ) 1,324 participants who were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ⅱ) 13 participants who had missing values on examination of blood pressure and carotid IMT, and (ⅲ) 1 additional person for missing the blood chemistry information were excluded. Finall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6,759 individuals in the analysis (mean age at baseline, 50.46 ± 8.88 years; 2,234 men and 4,525 women). Blood pressure (BP) was categorized into 1) no hypertension, 2) IDH, 3)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SH) and 4) systolic diastolic hypertension (SDH) according to the 2017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Guideline. Carotid IMT was scanned by B-mode ultrasonography and the 75 percentile of IMT was used to be considered increased IM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DH and the thickening of carotid IMT. We also conducted subgroup analyses by age group, ≥ 50 years and < 50 years. Results: In younger participants aged under 50, ID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ickening of carotid IMT after adjusting for age, sex, body mass index, education, physical activity, smoking, diabetes,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ipid-lowering drug use, C-reactive protein, and study site (odds ratio: 1.57, 95% confidence interval: 1.10-2.26). But the association was not observed in those aged 50 years or older (odds ratio: 0.89, 95% confidence interval: 0.72-1.09). On the other hand, ISH and SDH were associated with the thickening of carotid IMT both in younger and older groups. Conclusion: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of Korean adults, ID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otid IMT among individuals under 50 years of age, but not in those over 50. This finding suggests that IDH may not be a completely benign status and might be an initial step in providing evidence for early strategies appropriate for young adults with IDH. 배경 및 목적: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 환자들에서 양성 결과와 연령 특이적인 결과에 관한 논쟁이 있어왔다. 따라서 우리는 단면 연구 디자인에서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사이의 연령 특이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심혈관 대사질환 원인 연구 센터의 코호트 기반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년 이내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또는 암이 있던 사람들은 제외하였다. 30-64세의 초기인원 8,097명 (2,808명의 남성과 5,289명의 여성)으로부터 (ⅰ) 고혈압약 복용자 1,324명, (ⅱ) 혈압 및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서 결측값을 보이는 대상자 13명, (ⅲ) 혈액 화학적 변수 에서 결측값을 보이는 1명을 추가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6,759명을 분석에 포함 하였다 (베이스라인 평균 연령, 50.46 ± 8.88세; 2,234명의 남성과 4,525명의 여성). 혈 압은 2017 미국심장협회/심장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1) 고혈압 아님, 2) 고립성 확장 기 고혈압, 3)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 4) 수축기 이완기 고혈압으로 분류되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B-모드 초음파로 측정되었으며 상위 75 퍼센트에 해당하는 두께를 증 가된 내중막 두께로 정의하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50세 이상 및 50세 미만으로 하위그룹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50세 미만의 대상자에서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은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신체활동, 흡연, 당뇨병 진단여부,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지질강하제 사용여부, C-반응성 단백질 및 연구 장소를 보정하였을 때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 워지는 것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오즈비: 1.57, 95% 신뢰구간: 1.10-2.26). 그러나 50세 이상의 대상자에서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오즈비: 0.89, 95% 신뢰구간: 0.72-1.09). 한편,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과 수축기 이완기 고혈압은 젊은 그룹과 나이 든 그룹 모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및 고찰: 한국 성인에 관한 본 단면연구에서,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은 50세 미만의 대상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50세 이상의 대상자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이 결과는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이 완전히 양성 상태가 아닐 수 있고,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이 있는 젊은 성인에게 적합한 초기 전략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초기 단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Age-stratified association between isolated diastolic hypertension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Results from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Etiology Research Center (CMERC) study-
dc.title.alternative고립성 이완기 고혈압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사이의 연령 층화 연관성-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Jiye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