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134

Cited 0 times in

로봇을 이용한 귀뒤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의 효용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태경-
dc.date.accessioned2023-12-11T02:12:03Z-
dc.date.available2023-12-11T02:12:03Z-
dc.date.issued2023-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134-
dc.description.abstract1906년 Crile이 두경부 암 환자의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며 목 림프절 청소술을 동시에 시행한 것을 보고한 이후 목 림프절 청소술은 두경부 암 환자의 통상적인 치료법으로 자리잡았으며 이후 목 림프절의 치료법은 더욱 발전되고 세분화되었으나, 목 절개 림프절 청소술은 목에 긴 흉터를 남김에는 변함이 없었다. 귀 뒤 절개를 통한 내시경 및 로봇(da Vinci Surgical Systems)을 이용한 목 림프절 청소술로 눈에 띄는 흉터를 피할 수 있게 되었고, 술자의 손떨림 현상 제거, 확대된 배율의 시야 등 장점들을 제공한다. 로봇을 이용한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의 종양학적 결과나 효용성을 전통적 목 림프절 청소술과 비교한 연구들이 발표된 바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로봇을 이용한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의 종양학적 안정성과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수술을 받은 구강 편평세포암 환자 130명 중 임상적으로 목 림프절 전이가 없이 편측의 선택적 목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 받은 환자 67명 중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을 받은 23명의 환자군과, 성향점수 매칭을 통한 전통적 목 절개 림프절 청소술을 받은 23명 환자군의 종양학적 지표와 수술전후 지표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로봇을 이용한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의 2년 무병 생존율은 전통적 목 절개 림프절 청소술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통계학적 차이가 없다. 2. 수술 시간, 목 림프절 청소술로 회수된 림프절 수, Suction drain(Hemovac)에서 배액된 총량과 hemovac을 제거하는데 소요된 일 수 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로봇을 이용한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한 경우 ICU 재원 기간은 유의미하게 짧았다. 위 결과를 통해 구강암 환자에서 로봇을 이용한 귀뒤 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이 전통적 목 림프절 청소술과 비교하여 종양학적 안정성과 효용성 측면에서 비열등함을 확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가들이 목 림프절 청소술을 결정함에 있어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될 것이다. From 1906, when Crile reported of performing neck dissection simultaneously with wide exci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neck dissection has taken place as a routine treatment. Since then, treatment methods of neck dissection have been developed and subdivided. However, conventional transcervical neck dissection can inevitably cause long scars on the neck, which can reduce aesthetic satisfaction of patients after surgery. Using a robot(da Vinci) with retroauricular approach can increase aesthetic satisfaction because it leaves scars behind the ear. In addition, it can provide advantages such as removing the operator's hand shaking phenomenon and securing an inaccessible field of view. However,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research data on the oncological results or efficacy comparison of robot-assisted retroauricular neck dissection and conventional transcervical neck dissection. To evaluate the oncological safety and efficacy of robot-assisted neck dissection, the author compared 23 patients who performed robot-assisted neck dissection with the following 23 patients underwent conventional neck dissection out of 67 patients who have clinically negative neck node and performed neck dissection. 1.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neck dissection. 2.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total amount drained from suction drain(hemovac), and the duration until the suction drain is removed. 3. In the case of performing robot-assisted retroauricular neck dissection, the ICU hospitaliz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shor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 retrospective study, only a single institution was targeted, and the confidence interval o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was wide due to small number of study patient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surgeon for suggesting the oncological safety and feasibility of robot-assisted neck dissec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로봇을 이용한 귀뒤절개 목 림프절 청소술의 효용성-
dc.title.alternativeEfficacy of robot-assisted retroauricular neck dissec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Taegye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