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72

Cited 0 times in

Association between Colon Polyp and Colorectal Cancer using Text-Mining Analysis

Other Titles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장용종과 대장암의 연관성 분석 연구 
Authors
 문성미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INTRODUCTION Colorectal cancer (CRC) is the one of the major healthcare problem worldwide with increasing incidence and mortality. To reduce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RC,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remove colon polyp early through colonoscopy.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lon polyp and CRC based on colonoscopic findings, previous studies had limitations of sample size or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colon polyp and CRC using text-mining (TM) analysi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data in Korea Medical Institute (KMI). We included all participants who underwent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with colonoscopy between 2008 and 2019 (N=360,753). We categorized participants in no polyp group, low-risk polyp group, and high-risk polyp group. Information on colon polyp and CRC was extracted by colonoscopic findings using text-mining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revalent colon polyp, we conduct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djusted demography, lifestyle, and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Then we estimated adjusted prevalence of CRC in each group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lon polyp and CRC. Sensitivity analysis regarding age and sex was also performed. RESULTS Among 360,753 participants, 63.0% did not have colon polyp, 33.4% had low-risk polyp, and 3.5% had high-risk polyp. The adjusted odds ratio for prevalent high-risk polyp in female, former smoker, current smoker and alcohol intake were 0.71 (0.66-0.75), 1.39 (1.30-1.48), 2.89 (2.71-3.07), and 1.37 (1.31-1.44),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sensitivity analysis. Each adjusted prevalence for CRC in no polyp group, low-risk polyp group, and high-risk polyp group was 0.06 (95% CI 0.05-0.07), 0.09 (0.07-0.10), and 0.13 (0.08-0.17), respectively. Adjusted prevalence ratios were 1.22 (0.91-1.53) and 1.49 (0.73-2.25) in low-risk polyp group and high-risk polyp group compared with no polyp group. CONCLUSION In our study, factors related to prevalent colon polyp were sex, age, Body Mass Index (BMI),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and regular physical activities. Our study suggests high-risk polyp is associated with CRC. We suggest male aged 50 or above needs to conduct colonoscopy to prevent CRC. Our results may be used to provide evidence for healthcare policies.
연구 배경 대장암은 세계적으로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아지며, 보건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장암의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 진 대장용종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장용종과 대장암 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연구 대상자 수 또는 용종의 제한적인 정보 등에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 위의 건강검진 정보와 비정형 데이터을 활용하여 대장용종을 고위험군 및 저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대장암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한국의학연구소의 건강검진 자료를 활용한 단면 연구로, 2008년 부터 2019년까지 1회 이상 대장내시경을 수검한 수검자를 대상으로 한다 (N = 360,753). 대장용종은 아형, 개수, 크기를 고려하여 저위험 용종과 고위험 용 종으로 구분하였다. 대장용종과 대장암에 대한 정보는 대장내시경 판독문을 텍스트마이닝하여 추출하였다. 대장용종의 위험요인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학 적 요인, 생활습관 요인, 검진 결과를 보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 다. 대장용종과 대장암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표준화방법을 수행하였 다. 추가적으로,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360,753명 중 63.0%는 대장용종이 없었고 33.4%는 저위험 용종군, 3.5% 는 고위험 용종군에 포함되었다. 대장용종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BMI, 과거 및 현재 흡연, 음주였다. 보정된 유병률은 대장용종이 없는 군에서 0.06%, 저위험군에서 0.09%, 고위험군에서 0.13%이었다. 보정된 유병 률의 비는 대장용종이 없는 군 대비 저위험군에서 1.22 (95% 신뢰구간, 0.91-1.53), 고위험군에서 1.49 (95% 신뢰구간, 0.73-2.25) 였다. 결론 대장용종과 연관이 있는 주요한 인자는 성별, 연령, BMI, 흡연, 음주 및 신 체활동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대장암 예방을 위한 대 장내시경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대장내시경과 관련된 건 강증진 정책의 근거로써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0157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0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