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459

Cited 0 times in

서울지역 대기오염이 성인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환자 교차연구

Other Titles
 Effect of Air Pollution on Atopic dermatitis in Seoul : A Case-Crossover Design 
Authors
 정명후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Background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environmental pollution is an important issue, and among them, air pollution is proven to be a risk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particular, atopic dermatitis, known as a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disease, is known to be related to air pollution, but in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topic dermatitis in infants and children, and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topic dermatitis in adult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risk of adult atopic occurrence is identified, and the basis for adult atopic research is to be established. Subject and Methods In this study, a sample cohort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as used. The sample cohort is a DB built by extracting about 1 million people, 2.0% of national health insurers, and consis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and medical use variables. Atopic dermatitis was defined as a subject of diagnostic code L20.X (KCD 7th), and a two-year (2002-2003) Wash out period was placed to extract new atopic patients, excluding existing patients, and the subjects were confirmed in adults and Seoul (10,313). In addition, detailed analysis was performed by classifying atopic severity based on prescription drugs. The sutdy design used a Bidirectional Case-Crossover study metho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matching with 1:6 for 3 weeks before and after atopic visi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the delay effect from the day to 5 days ago was considered, and conditional logistic analysis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zone was the pollutant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atopic dermatitis. The risk of atopic dermatitis increased by 1.043 times (95% [CI], 1.017-1.068) as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before 2 days increased by 0.001 ppm across the study subjects. The risk of occurrence of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3 days ago is 1.045 times (95% [CI], 1.020 to 1.072), and 1.031 times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4 days ago (95% [CI], 1.006 to 1.057),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was 1.033 times (95% [CI], 1.008 to 1.058) five days ago, and the risk of occurrence gradually decreased. In the gender analysis, men have a 1.050 times risk of atopic dermatitis as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increases by 0.001 ppm 4 days ago. The risk of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8 hours 2 days ago is 1.032 times (95% CI, 1.001 to 1.063),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8 hours 4 days ago was 1.034 times (95% CI, 1.003~1.066). In women, the risk of atopic dermatitis increased 1.026 times (95% CI, 1.005-1.048) as the average concentration on the day increased by 0.001 ppm. As of 2 days ago,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was 1.046 times (95% [CI], 1.014~1.078), The maximum concentration per day is 1.018 times (95% [CI], 1.003~1.013), The risk of occurrence increased with an 8-hour average concentration of 1.038 times (95% [CI] and 1.015 to 1.061). The concentration 3 days ago is 1.052 times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95% [CI], 1.020~1.086), The maximum concentration per day is 1.016 times (95% [CI], 1.001 to 1.032), The risk of occurrence increased to an 8-hour average concentration of 1.034 times (95% [CI], 1.012-1.057). In the age-specific analysis, as the daily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ncreases by 0.001 ppm in the 40s and 50s, the risk of atopy occurrence is 1.076 times (95% [CI], 1.035 to 1.119 times), The maximum daily concentration is 1.024 times (95% [CI], 1.004~1.044), 8 hour average concentration 1.032 times (95% [CI], 1.011~1.071), 4 days ago,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was 1.073 times (95% [CI], 1.031~1.116), The 8-hour average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45 times (95% [CI], 1.015 to 1.075). In the analysis by severity, nitrogen dioxide was the biggest risk factor for mild atopic symptoms.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by 0.01 ppm on the same day, the risk of atopic occurrence was found to increase to 1.043 times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95% [CI], 1.001 to 1.087) and the maximum concentration 1.037 times (95% [CI], 1.007 to 1.067). In the 5-day delay effect, the risk of occurrence decreased at the 5-day concentration to 0.953 times (95% [CI], 0.914 to 0.993) and the 8-hour average concentration (95% [CI], 0.916 to 0.993) as the daily maximum concentration increased by 0.01ppm. Conclusion Ozone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in all analysis by age, gender, and sever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risk was higher in women than men, in their 40s to 50s in age, and in severe cases than mild atopic symptoms.

연구배경 현대사회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환경오염에 관련된 문제는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 대기오염은 그 위험성이 인정되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환경성 질환으로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은 대기오염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유아·아동기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뿐, 성인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기오염이 성인 아토피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성인 아토피 관련 연구의 초석을 다지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표본 코호트를 사용하였다. 표본 코흐트는 국민건강보험 자격보유자 중 2.0% 약 110만명을 추출하여 구축한 DB로, 사회경제적 변수, 의료이용 변수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L20.X (KCD 7차)가 주·부상병으로 청구된 대상자로 정의하였으며, 아토피 신환자를 추출하기 위해 2년의(2002~2003) Wash out period를 두어 기존 질환자를 제외하였고, 성인, 서울지역으로 대상자를 확정하였다(10,313명). 또한 아토피 중증도별 상세 분석을 위해 처방약품을 기준으로 중증·경증을 구분하였다. 연구설계는 양방향성 환자-교차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아토피 내원±3주 1:6로 매칭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당일~5일전까지의 지연효과를 고려하였고, 분석은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오염물질은 오존이었다. 연구대상자 전체에서 2일전 오존의 일 평균 농도가 0.001 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발생위험은 1.043배 증가하였으며(95% [CI], 1.017-1.068), 3일전 일 평균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은 1.045배(95% [CI], 1.020~1.072), 4일전 일 평균 농도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은 1.031배(95% [CI], 1.006~1.057), 5일전 일 평균 농도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은 1.033배 (95% [CI], 1.008~1.058)로 발생위험이 서서히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성별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남성에서는 4일전 일 평균 오존 농도가 0.001 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발생위험이 1.050배, 2일전 8시간 평균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은 1.032배(95% CI, 1.001~1.063), 4일전 8시간 평균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은 1.034배(95% CI, 1.003~1.066)로 나타났고, 여성에서는 당일 평균 농도가 0.001 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발생위험이 1.026배(95% CI, 1.005~1.048) 증가했고, 2일전 일 평균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 1.046배(95% [CI], 1.014~1.078), 2일전 일 최대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 1.018배(95% [CI], 1.003~1.013), 2일전 8시간 평균 농도의 증가에 따른 발생위험 1.038배(95% [CI], 1.015~1.061)로 모두 발생위험이 증가했으며, 3일전 농도 또한 일 평균 농도 1.052배(95% [CI], 1.020~1.086), 일 최대 농도 1.016배 (95% [CI], 1.001~1.032) 8시간 평균 농도 1.034배 (95% [CI], 1.012~1.057)로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으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40~50대에서 3일전 오존의 일 평균 농도가 0.001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발생위험은 1.076배(95% [CI], 1.035~1.119)배, 일 최대 농도 1.024배(95% [CI], 1.004~1.044), 8시간 평균 농도 1.041배(95% [CI], 1.011~1.071), 4일전 오존에서는 일 평균 농도 1.073배 (95% [CI], 1.031~1.116), 8시간 평균 농도 1.045배(95% [CI], 1.015~1.07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도를 나누어 분석했을 때, 아토피 경증에서는 이산화질소가 가장 큰 위험요인이었으며, 당일 이산화질소 농도가 0.01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발생위험은 일 평균 농도 1.043배(95% [CI], 1.001~1.087), 일 최대 농도 1.037배(95% [CI], 1.007~1.067)로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일전 지연효과 에서는 일 최대 농도가 0.01ppm 증가함에 따라 0.953배 (95% [CI], 0.914~0.993), 8시간 평균 농도 0.953배 (95% [CI], 0.916~0.993)로 5일전 농도에서는 발생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중증에서는 분석결과 2일전 일 평균 오존 농도가 0.001ppm 증가함에 따라 아토피 발생 위험은 1.058배(95% [CI], 1.022~1.096), 2일전 8시간 평균 농도 1.036배(95% [CI], 1.010~1.063), 3일전 일 평균 농도 1.071배(95% [CI], 1.034~1.110), 3일전 일 최대 농도 1.024배(95% [CI], 1.007~1.042), 3일전 8시간 평균 농도 1.039배(95% [CI], 1.013~1.066), 4일전 일 평균 농도 1.045배(95% [CI], 1.008~1.083), 4일전 8시간 평균 농도 1.029배(95% [CI], 1.003~1.055), 5일전 일 최대 농도 1.036배(95% [CI], 1.000~1.074), 5일전 8시간 평균 농도 1.028배(95% [CI], 1.002~1.054)로 오존만이 유일한 위험요인이었다. 결론 전체, 연령별, 성별, 중증도별 분석 모두에서 오존이 성인 아토피 발생위험을 높이는 가장 유의한 위험요인이었으며, 상대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연령에서는 40~50대에서, 아토피 경증 보다는 중증에서 그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 물질의 지연효과는 3일전에서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는 4일전, 여성에서는 3일전, 40~50대에서는 3일전, 60대 이상에서는 5일전이 위험성이 가장 높아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Files in This Item:
T01540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3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