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3 813

Cited 0 times in

상대악력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on the Incid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uthors
 정수인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VD) is a disease that has high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around the world. The costs of health care and the economic burden on CVD patients are also increasing, and various efforts such as policies and projects are being made to prevent and manage CVD. Handgrip strength (HGS) is an indicator of muscle strength. The relative HGS, which is absolute HGS divided by body mass index (BMI), is an economical, simple, and highly effective measurement tool to predict health status, morbidity, and mortality.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evious studies on the risk of incidence of CVD associated with low relative HG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inconsist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at relative HGS and a change in relative HGS a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CVD. Subject and Methods: Seven-year data from the 1st wave to 7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ere used. In the first survey, data from subjects aged between 45 to less than 90 years of age who had at least one survey data during the 2nd to the 6th waves among subjects without CVD were used. The variables of interest were the relative HGS of the N-th survey and the change in relative HGS of the N+1-th survey compared to the relative HGS of the N-th surve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occurrence of CVD at the N+1-th survey. Relative HGS, the variable of interest, was analyzed in tertiles depending on age and gender and categorized into Low, Middle, and High. Th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test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HGS or the change in relative HGS and the occurrence of CVD was evaluated by the odds ratio using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Results: When all related variables are controlled, the risk of incidence of CVD in the lowest tertile group was OR 1.44 (95% CI: 1.19-1.73) compared to the highest tertile group. And the risk of incidence of CVD in a decrease in relative HGS was OR 1.59 (95% CI: 1.33-1.90) compared to maintenance in relative HGS or an increase in relative HGS. The relative HGS and the change in relative HGS we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CVD in both sexes. However,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GS and the incidence of CVD in those under the age of 65.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low relative HGS and a decrease in relative HGS increased the risk of incidence of CVD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relative HGS as a predictor of CVD. However, to be used in actual clinical practic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lative HGS must be increased, and clinical reference values must also b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public health significance through additional studies on relative HGS as an indicator of CVD.

연구 배경 및 목적: 심뇌혈관질환은 10대 사망원인 중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서 심장질환의 경우 꾸준히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그에 대한 의료비 및 경제적 비용 역시 증가하고 있고, 국가 차원에서도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해 정책, 사업 등의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악력은 근력을 평가하는 지표이며, 절대악력을 체질량지수 나눈 상대악력은 건강상태, 질환 이환율과 사망률을 예측하는 경제적이고 간단하며 효용성 높은 측정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낮은 상대악력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에 대한 여러 선행 연구가 있으나 결과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반복 측정된 데이터의 특징을 활용하여 상대악력과 상대악력 변동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6년~2018년까지 총 7차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1차 조사 시 심뇌혈관질환이 없는 대상자 중 추후 N차 조사(2~6차) 중 하나 이상의 조사자료가 있는 45세 이상 90세 미만의 대상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관심변수인 상대악력을 각 연령대 및 성별에 따라 삼분위수로 나누어 하위(Low), 중위(Middle), 상위(High) 세 그룹으로 범주화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고, N차의 상대악력 및 상대악력 변동에 따른 N+1차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여부는 일반화추정방정식(GEE)을 이용하여 오즈비(Odds Ratio)로 평가하였다. 성별, 연령,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상대악력 및 상대악력 변동과 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악력이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및 질환 요인, 경제학적 요인을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상대악력 상위집단 대비 하위집단에서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오즈는 1.44배(95% CI: 1.19-1.7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상대악력 변동이 심뇌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을 시 상대악력 유지·증가군에 대비 상대악력 감소군(악력 하위수준 유지 포함)에서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오즈는 1.59배(95% CI: 1.33-1.90)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상대악력과 상대악력 변동 모두 남성과 여성, 65세 이상, 위험인자(고혈압·당뇨군)과 위험인자가 없는 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65세 미만의 경우 상대악력과 심뇌혈관질환 발생간의 연관성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낮은 상대악력과 상대악력 감소(악력 하위수준 유지 포함)가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심뇌혈관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자로서 상대악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대악력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여야 하며, 임상적 기준값을 찾기 위한 연구들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의 지표자로서의 상대악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그 공중보건학적 의의를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01539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