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 289

Cited 0 times in

국내 무용인에서 근골격계 질환과 우울 증상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 dancers 
Authors
 주재한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Dancers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pressure and stress for perfect performance on stage, and they are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eases due to long practic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reported that dancers with physical injuries are very likely to worsen their mental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dancers using the artist mental health survey data. This study used the artist mental health survey data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s Industrial Health Research Institute in 2017 on Korean dancers. Excluding non-response and missing values for major variables, 124 korean danc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ccording to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according to the diagnosis sit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agnosis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isk of depression before and after adjus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bs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case of mild to moderate depressive symptoms. In the case of severe depressive symptoms, neither before nor after adjus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iagnosis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agnosis si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before and after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upper extremity and upper & lower extremities than the abs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case of mild to moderate depressive symptoms. In the lower extrem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fore and after adjustment. In case of severe depressive symptoms,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extremities than the abs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in both lower extremities and upper & lower extrem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using data from the artist mental health survey data. Dancers suffering from physical injuries, including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ir survival and eventually suffer from stress, which can lead to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However,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physically injured dancers can be managed through improved awareness, institutional support and maintenance. Therefo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our study as basic data will help improve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ve symptoms of physically injured dancers in the future.

무용수들은 무대 위에서의 완벽한 연기를 위해 심리적인 압박감 및 스트레스 에 시달리고 있으며 장시간의 연습으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항상 노 출되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신체적 부상을 당한 무용수들은 정신병적 증 상의 악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 인 정신 건강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무용인에서 근골격계 질환과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산업보건 연구소에서 2017년 국내 무용인들을 대상으 로 작성한 예술인 정신 건강 조사를 연구 자료로 이용하였다. 총 응답자 143 명 중 주요변수에 대한 무응답 및 결측치를 제외한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 증상과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 술 분석을 실시하였고,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 유무 및 진단 부위에 따른 우울 증상의 유병률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근골격계 질환 진단 유무 및 진단 부 위에 따른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근골격계 질환 진단 유무와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에서 경, 중등도 우울 증 상의 경우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에서 보정 전, 후 모 두 우울 증상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우 울 증상의 경우 보정 전,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 다. 근골격계 질환 진단 부위와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에서는 경, 중등도 우울 증상에서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지 및 상, 하지 모두에 있는 경우 보정 전, 후 모두 우울 증상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에서는 보정 전, 후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증 우울 증상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지에 있는 경우 보정 후 우울 증상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하지, 상, 하지 모두의 경우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용인들을 대상으로 한 예술인 정신 건강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근골격계 질환 유무 및 진단 부위에 따른 우울 증상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을 포함한 신체적 부상에 시달리는 무용인들 은 곧 이들의 생존과 직결되며 결국 스트레스에 시달려 정신 건강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적 부상을 입은 무용수들의 사회심리학적인 요인 은 이들에 대한 인식 개선, 제도적인 지원 및 정비 등을 통해 관리가 가능하 다. 따라서,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신체적 부상을 입은 무 용인들의 우울 증상을 비롯한 정신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 각한다.
Files in This Item:
T01541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