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439

Cited 0 times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Risk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Comparison between Shortage and Non-shortage Areas

Other Titles
 의료취약지 제2형 당뇨환자의 입원 및 사망 위험 연구 
Authors
 주재홍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서론: 인구의 고령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비전염성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당뇨로 인한 사망률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며 현재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6위로 올랐다. 한정된 의료자원, 의료비 증가 등 당뇨의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당뇨 관리의 중요성은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공중보건 사안이다. 모든 국민이 지역에 따른 차이 없이 건강하기 위해 의료취약 격차 개선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질병에 대한 부담과 실황 추정이 중요하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2004-2013년도 관찰 기간 동안 제2형 당뇨(ICD-10: E11.X)를 최초 진단 받은 환자들을 선별하였다. 총 51,279명의 연구대상자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행 문헌고찰을 통해 의료취약지에 대한 정의를 이 연구에 적용하였다. 의료취약지는 지역별 보건의료 수요, 공급, 접근성, 의료이용에 대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요약한 척도를 기반으로 정의하였다. 콕스비례위험모델(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를 활용하여 제2형 당뇨를 최초 진단 받은 의료취약지 거주 환자의 상대적인 입원 및 사망 위험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총 51,249명 중 의료취약지에 거주하는 8,556(16.7%)명의 제2형 당뇨환자를 환자군으로 배정하였으며, 미취약지에 거주하는 42,723(83.3%)명의 제2형 당뇨환자를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의료취약지 환자들의 모든 입원 위험이 14% 증가했으며(HR = 1.14, CI 95% 1.11-1.18), 당뇨로 인한 입원 위험은 12% 증가했다(HR: 1.12; 95% CI: 1.00-1.25). 취약의 영역을 분류하여 하위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일차의료가 취약한 지역에서 당뇨환자의 모든 입원 위험이 더 크게 증가했으며(HR: 1.19; 95% CI: 1.16-1.22), 인구 구조가 취약한 지역에서 당뇨로 인한 입원 위험이 더 크게 증가했다(HR: 1.21; 95% CI: 1.09-1.34). 사망의 경우, 의료취약지 환자들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2% 증가했다(HR: 1.12; 95% CI: 1.04-1.21). 일차의료가 취약한 지역에서 당뇨환자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크게 증가했으며(HR: 1.15; 95% CI: 1.08-1.23), 건강행태가 취약한 지역에서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이 더 크게 증가했다(HR: 1.20; 95% CI: 0.99-1.46). 결론: 질병에 대한 평가는 취약계층의 독립성과 기능적 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정 중 첫번째 단계이다. 다양한 인구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역사회 기반 공동체는 다면적이다. 따라서 건강 격차가 심한 질병의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지리적 요구를 포함한 다차원 적 측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Background: Diabetes mellitus (DM) is a common chronic disease worldwide, and its number is proj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Estimates of the current burden of DM are important to encourage measures to counteract the rising trend and allocate appropriate health resources in the community. Public health interventions are primarily aimed at reducing health disparities to enhance the well-being of all individuals. In South Korea inequalities in health status have been observed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and the problem is especially pronounced in rural communities. Diseases with health disparities are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that need to be address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isk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II DM living in shortage areas compared to those living in non-shortage areas of South Korea. Methods: 136 indicators were extracted from various national census data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250 districts of South Korea. The selected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domains: (1) Demand; (2) Supply/Resource; (3) Accessibility; (4) Utilization; (5) Health Outcome. All indicators were converted into position for relative comparison (PARC) Index, in which different units of measurements are converted to one unit of measurement to provide a comprehensive summary measure that considers multifaceted health related factors. An area with a score of -0.33 or less qualified for designation as shortage area. Accordingly, 82 Sigungu districts of South Korea were classified into shortage-areas and 168 Sigungu districts of South Korea were classified into non-shortage areas. The area of residence of T2DM patients derived from the National Insurance Service – National Sample Cohort was identified with the 5 digit cod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risk of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in shortage area T2DM patients,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employed. Results: The final sample comprised of 51,279 individuals. Among 8,556 shortage area T2DM patients, 54.4% experienced hospitalization after onset and 10.3% died. The shortage area T2DM patients had increased risk of hospitalization (HR: 1.14; 95% CI: 1.11-1.18) and increased risk of diabetes-related hospitalization (HR: 1.12; 95% CI: 1.00-1.25). The risk of hospitalization increased the greatest in areas encountering vulnerability in primary care (HR: 1.19; 95% CI: 1.16-1.22). The risk of diabetes-related hospitalization increased the greatest in areas encountering vulnerability in healthcare demand, in particular population structure (HR: 1.21; 95% CI: 1.09-1.34). The shortage area T2DM patients had increased risk of all-cause mortality (HR: 1.12; 95% CI: 1.04-1.21). The risk of all-cause mortality increased the greatest in areas encountering vulnerability in primary care (HR: 1.15; 95% CI: 1.08-1.23). The risk of cause-specific mortality increased the greatest in areas with poor behavior determinants of health status (HR: 1.20; 95% CI: 0.99-1.46).
Files in This Item:
T01528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7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