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Tooth size relationship for ideal occlusion of lateral segment teeth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양정웅 | - |
| dc.date.accessioned | 2022-08-23T01:53:28Z | - |
| dc.date.available | 2022-08-23T01:53:28Z | - |
| dc.date.issued | 2022-02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792 |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ooth size relationship between maxillary and mandibular lateral segment teeth for ideal occlusion. Sixty two patients who had Class I molar and Class I canine relationship in post-orthodontic treatment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4 premolars extrac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extraction group(n=22; male 7, female 15) and non-extraction group(n=40; male 13, female 27). After measuring the tooth size of all teeth up to the first molar on the post-treatment stone models, the ratio and difference of several combination groups from lateral segment teeth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mandibular against maxillary premolar in the extraction group(104.11%) was larger than that in the non-extraction group(102.39%). Premolar size discrepanc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The size of mandibular premolars was larger than that of maxillary premolars (Mean 0.32mm SD 0.44). By using the ratio and difference of the premolars and lateral segment teeth presented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to analyze tooth size discrepancy, it will be helpful to achieve ideal lateral segment occlu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적인 측방 교합을 위하여 필요한 상악과 하악 측방치군의 치아 크기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교정치료 후 I급 구치 및 견치 관계를 보이는 6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교정 치료 중 소구치 발치 여부를 기준으로 발치 군(22명; 남성 7명, 여성 15명)과 비발치 군(40명; 남성 13명, 여성 27명)으로 분류하였다. 교정치료 후 석고 모형에서 중절치부터 제1 대구치까지 모든 치아의 크기를 계측하였고, 측방치군을 이루는 여러 조합의 치아 군을 대상으로 상악과 하악 사이의 크기 비율과 차이를 계산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악에 대한 하악 소구치군의 크기 비율은 발치 군(104.11%)에서 비발치 군(102.39%)보다 더 컸다. 소구치군의 상하악간 크기 차이는 발치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하악 소구치 군의 크기가 상악 소구치 군의 크기보다 평균 0.32mm 컸다. 기존의 치아 크기 부조화 분석 방법과 더불어 본 연구의 소구치군 및 측방치군의 크기 비율과 차이를 이용한다면 이상적인 측방 교합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 dc.publisher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title | Tooth size relationship for ideal occlusion of lateral segment teeth | - |
| dc.title.alternative | 이상적인 측방 교합을 위한 치아 크기 관계 | - |
| dc.type | Thesis | - |
| dc.contributor.college |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 |
| dc.contributor.department | Others (기타) | - |
| dc.description.degree | 석사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ang Jung Woong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