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631

Cited 0 times in

Taste Sensitivity Modulating Factors in the Elderly

Other Titles
 노인 미각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Authors
 이주희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연구목적: 노화는 신체 기관의 퇴화가 일어나는 과정이며, 개인의 사회적 위치나 심리적인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미각민감도 역시 나이에 따라 변화한다. 미각은 식욕을 유지하고 상한 음식을 피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한 영양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노인의 미각민감도 변화는 노년기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미각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한 기존의 대다수 연구는 감칠맛을 포함한 연구를 진행하지 않았다. 또한 심리사회적인 개인의 상태와의 관계 또한 확인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칠맛을 포함하여 노인의 다섯가지 기본 미각의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미각민감도 검사와 신체적, 심리적 다양한 인자들을 검사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65세 이상 노인(연령 분포: 65-103세)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총 98명(남성: 27명, 여성: 71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건강 상태, 심리적 건강 상태, 미각민감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평가를 위해 윌콕슨 테스트와 크루스칼-왈리스 테스트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유의성을 나타낸 6개의 인자를 바탕으로 노인의 미각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능력이 낮은 그룹에서 쓴맛, 전체 미각민감도가 낮게 나타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OR=0.34, P=0.02/ OR=0.34, P=0.02). 또한 자존감이 낮은 그룹에서 짠맛과 신맛의 미각민감도가 낮게 나타났다 (각각 OR=0.29, P<0.01/ OR=0.38, P=0.03). 남성의 전체 미각민감도가 여성에 비해 낮았다 (OR=0.23, P=0.01). 결론: 노인 미각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자존감, 인지능력이 있었다. 감칠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본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ging is a process that causes changes of the organs in the body and can change the social position and psychological condition of an individual. Taste sensitivity also changes with age. Taste sensitivity helps maintain a good nutritional state because it increases appetite and prevents the consumption of spoiled food. Therefore, decreases of taste sensitivity in the elderly could affect their general health. Most prior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aste-modulating factors by assessing four basic taste types, not umami;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has not been consider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aste (including umami)-modulating factors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aste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depressive symptom level and self-esteem in elderly Korean individuals. A total of 98 participants, aged 65–103 years and 71 were females and 27 were males, were evaluated their gener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and taste sensitivity. After performing univariate analysi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aste: age, diabetes, cognition, self-esteem, sex, and number of drugs. Consequently, these variables were test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R program. The lower cognition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bitter and lower total taste sensitivity (odds ratio [OR]=0.34, P=0.02 and OR=0.34, P=0.02, respectively) than the higher cognition group. The lower self-estee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lty (OR=0.29, P<0.01) and sour taste sensitivity (OR=0.38, P=0.03) than higher self-esteem group. Males had significantly lower total taste sensitivity (OR=0.23, P=0.01) than females. Cognition, self-esteem, and sex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significantly modulated taste sensitivity in elderly Korean individuals. The factor affecting umami taste sensitivity was not found.
Files in This Item:
T01533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al Biology (구강생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Lee, Joo-Hee(이주희)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76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