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257

Cited 0 times in

Success rate and suture separation ratio of non-surgical maxillary expansion depending on age and gender

Other Titles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비수술적 상악골 확장의 성공률과 확장 비율 
Authors
 전지윤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Dept. of Orthodontics (교정과학교실) 
Degree
박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본 연구는 구개확장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미니스크류 보강형 급속 구개확장 (miniscrew 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치료 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성공률과 골격적 확장 비율의 분포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후향적으로 시행되었다. MARPE 치료를 받은 환자 215명을 대상으로 확장 후 (T1) 상악 전치부 치근단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정중구개봉합의 이개를 평가하였고, 봉합이 이개된 171명의 환자에서 최대 확장을 시행한 후 (T2) 상악 전치부 치근단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봉합 이개 비율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15세 이하, 16-20세, 21-25세, 26-30세, 31-35세, 36-40세, 41세 이상으로, 성별은 남성, 여성의 subgroup으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으로 선형 연관성, Jonckheere-Terpstra 검정, Fisher의 정확한 검정, Mann-Whitney U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선형 회귀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MARPE의 전체 성공률은 79.53% 이었으며 남성에서 61.05%, 여성에서 94.17%로 나타났다. 남성에서는 연령의 증가와 정중구개봉합 이개의 실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었으나 (p<0.001), 여성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p=0.221). 또한 각 연령의 subgroup 내에서 성별과 정중구개봉합 이개의 성공 여부는 20세 이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21세 이상부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MARPE가 성공한 환자에서 두 성별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봉합 이개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모든 연령의 subgroup에서 남성 및 여성 사이의 봉합 이개 비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도출된 선형 회귀 모형에 따르면 장치의 종류와 무관하게 여성에서보다 남성에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정중구개봉합 이개량 감소를 나타내는 기울기가 약 2배 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특히 남성에서 MARPE를 높은 연령군에 적용할 때 정중구개봉합 이개의 성공 확률과 기저골의 충분한 확장에 대한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양호한 악정형적 확장 치료의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troductio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uccess rate and the amount of suture separation after the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procedure in relation to the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Methods The periapical radiographs of 215 subjects (95 male; 120 female; range, 6-60 years) who had undergone MARPE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uccess of suture separation was determined and, in suture-separated subjects, the amount of suture separation was evaluated by suture separation ratio calculated from the periapical radiograph obtained after active expansion. Association tests were performed using linear-by-linear association, the Jonckheere-Terpstra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also developed. Results The success rate of suture separation was 61.05% in male, 94.17% in female, and 79.53% in both gend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lder age and suture nonseparation in male (p<0.001), but, not in female (p=0.221). In suture-separated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toward a low amount of suture separation with older age subgroups in both genders (p<0.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uture separ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in all age subgroups. Conclusions Older patients treated with MARPE, particularly in male, may have a reduced likelihood of both success in suture separation and sufficient basal bone expan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at the success rate of MARPE and the amount of suture separation may depend on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Files in This Item:
T01532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thodontics (교정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Jeon, Ji Yoon(전지윤)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7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