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 570

Cited 0 times in

40세 이상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른 사망위험 비교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를 활용하여-

Other Titles
 Statin treatment and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ver 40 years old -using 2002-201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sample cohort 
Authors
 이지은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연구배경 국내의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06년 5.6%에서 2013년 8.0%로 증가하고 있으며 10대 사망원인 중 당뇨병은 5위로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은 고혈압,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장질환 등의 질환에 영향을 미치며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 미국 당뇨학회에서는 40세 이상의 당뇨 환자에게 심혈관계 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스타틴계 약물을 처방하도록 권고하며 미국심장학회와의 공동 연구에서는 당뇨병이나 한 가지 이상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에게 나이와 관계없이 약물 치료를 권고하는 등 당뇨병 환자에서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콜레스테롤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캐나다, 대만을 비롯한 타 국가에서 청구자료를 활용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른 사망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논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해당 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40세 이상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른 사망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02년에서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40세 이상이면서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경구용 혈당강하제 처방이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타틴 처방이력에 따라 스타틴 복용군과 비복용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카플란마이어 생존곡선과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군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을 시행하였으며 랜드마크 분석을 통하여 조기발견 오류를 보정하였다. 랜드마크 기간은 2가지로 설정하여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랜드마크 기간을 3년으로 설정하였을 때 연구대상자는 8,727명으로 이를 1:2 성향점수 매칭을 통하여 7,305명에 대해 분석하였다. 랜드마크 기간을 4년으로 설정하였을 때 연구대상자는 8,565명 이며 이를 1:1 성향점수 매칭을 통하여 연구대상자 5,748명에 대해 분석하였다. 성향점수 매칭을 거친 연구대상자는 두 군간의 일반적 특성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랜드마크 기간을 3년으로 설정하여 7,305명을 대상으로 콕스비례위험모형의 분석 결과 다른 요인을 통제했을 때, 스타틴을 복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스타틴을 복용한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72(95% CI:0.60-0.87)로 스타틴 복용이 당뇨병 환자에서 사망 위험을 유의하게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남자에 비해 여자의 사망위험 비는 0.57(95% CI:0.48-0.68)이었다. 연령이 40세 이상 50세 미만인 집단에 비해 50세 이상 6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45(95% CI:1.05-2.00), 60세 이상 7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4.17(95% CI:3.13-5.55), 70세 이상 8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0.52(95% CI:7.80-14.19), 80세 이상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25.07(95% CI:16.70-37.63)이었다.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소득수준이 보통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62(95% CI:0.47-0.82),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50(95% CI:0.37-0.68)이었다. 고혈압이 없는 집단에 비해 고혈압이 있는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84(95% CI:0.71-1.00), 허혈심장질환이 없는 집단에 비해 허혈심장질환이 있는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02(95% CI:0.74-1.40)였다. CCI 0점인 집단에 비해 1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98(95% CI:0.78-1.22), CCI 2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17(95% CI:0.93-1.48), CCI 3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39(95% CI:1.01-1.77)이었다. 랜드마크 기간을 4년으로 설정하여 5,748명을 대상으로 콕스비례위험모형의 분석 결과 다른 요인을 통제했을 때에도 3년 기간을 설정하였을 때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스타틴을 복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스타틴을 복용한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72(95% CI:0.58-0.90)였다. 남자에 비해 여자의 사망위험 비는 0.66(95% CI:0.53-0.83)이었다. 연령이 40세 이상 50세 미만인 집단에 비해 50세 이상 6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40(95% CI:0.95-2.06), 60세 이상 7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2.78(95% CI:1.92-4.02), 70세 이상 80세 미만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9.15(95% CI:6.33-13.22), 80세 이상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23.42(95% CI:14.36-38.20)이었다.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소득수준이 보통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66(95% CI:0.46-0.95),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58(95% CI:0.39-0.84)이었다. 고혈압이 없는 집단에 비해 고혈압이 있는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92(95% CI:0.74-1.16), 허혈심장질환이 없는 집단에 비해 허혈심장질환이 있는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90(95% CI:0.59-1.39)였다. CCI 0점인 집단에 비해 1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0.91(95% CI:0.68-1.21), CCI 2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09(95% CI:0.81-1.26), CCI 3점인 집단의 사망위험 비는 1.20(95% CI: 0.87-1.66)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40세 이상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스타틴을 복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복용한 군에서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에 비해 남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들의 사망위험에 대한 영향은 두 가지의 랜드마크 기간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Background Diabetes is a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 and it is the fifth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Diabetes directly or indirectly causes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kidney disease. And diabetes patients have a much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than the general population. Several large 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statins reduce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refore, I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tatin treatment and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2 diabetes over 40 years old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ample cohor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over 40 years old,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and had a history of prescribing oral hypoglycemic agents based on 2002-201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ample cohort.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tatin(+) and stati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cribing records, and followed-up for survival analysis using Kaplan-Meier survival curve and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to identify similar baseline characteristics in the two groups. And landmark analysis was used to adjust immortal time bias.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two landmark periods. Results 7,305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1:2 propensity score matching from 8,727 subjects when landmark period was 3 years. 5,748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from 8,565 subjects when landmark period was 4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Statin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all-cause mortality(HR, 0.72; 95% CI,0.60-0.87) as a result of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when landmark period was 3 years. Statin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all-cause mortality(HR, 0.72; 95% CI, 0.58-0.90) as a result of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after adjustment for covariates when landmark period was 4 years. Conclusions In conclusion, statin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lower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ver 40 years old. In addition,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higher the risk of all-cause mortality for men than for women.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the risk of all-cause mortality showed the same results in the two landmark periods.
Files in This Item:
T01539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60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