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 609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최장기직업군별 분석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ideation: The longest job-Specific Analysis 
Authors
 한지민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우리나라 노인의 인구는 경제발전과 보건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노후대비 부족과 자녀의 부양의식 약화로 노인의 삶의 질이 낮아졌다. 특히, 노인의 자살률은 전체 자살률의 약 2배 수준으로 다수의 연구에서 노인자살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에서 성별, 연령, 가구형태와 같은 개인적 측면에서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고,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직업군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본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2017년 노인실태조사의 최장기직업군을 이용하여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총 10,299명중에서 대리응답자,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치매 대상자, 기타 결측치를 제외하여 연구대상자를 총 9,902명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여, 기술분석 및 survey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검정을 하였다. 또한, 인구사회적 특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에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지지 및 사회환경 특성, 건강 및 기능상태 특성으로 보정하여 survey 특성을 반영한 Logistic regression 방법으로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수분석 결과, 자살생각에‘예’라고 응답한 노인은 618명으로 전체 연구대상자의 6.7% 이며, 최장기직업군별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노인은 화이트칼라 1,185명 중 56명(4.9%), 핑크칼라 1,738명 중 138명(8.6%), 블루칼라 6.035명 중 383명(6.8%), 비경제활동인구 944명 중 41명(4.6%)으로 차이를 보였고, p-value=0.000 수준으로 최장기직업과 자살생각에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변수 분석을 통해 화이트칼라에서는 연령이, 핑크칼라에서는 연령, 교육수준이, 블루칼라에서는 연령, 혼인상태, 연간 가구소득, 비경제활동인구에서는 성별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 외 통제변수에서는 화이트칼라에서 친인척(형제자매 포함)과의 왕래 및 연락빈도,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상이, 핑크칼라에서 신체활동여부, 영양상태, 미충족 의료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증상이, 블루칼라에서 친인척(형제자매 포함)과의 왕래 및 연락빈도, 흡연, 영양상태, 미충족 의료경험, 우울증상, 만성질환 개수가,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우울증상이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전국구 조사인 2017년 노인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인구사회적 특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연구대상자를 최장기직업군별로 접근하여 비교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한국사회의 빠른 노령화와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는 경제적 측면에서 노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최장기직업군별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자살예방정책과 노인정신건강관리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또한, 노인의 자살원인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본 연구가 추후에 노인의 경제적 여건으로 인한 노인의 자살률과 자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경감시키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인의 보건 및 복지정책을 도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increasing very rapidly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medical technology. However,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deteriorated due to th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weakening of their children's supportive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suicide rate among the elderly is at a serious level, and numerous studies have consistently reported the severity of suicide in the elderly. However,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individual area such as gender, age and household type. And domestic studies are insufficient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longest job that indicate economic status in socioeconomic a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and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using‘the longest job’which is a variable of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o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by the longest job. Among the 10,299 respondents in the survey, 216 proxy responses, 160 respondents who was diagnosed with dementia based on doctor’s diagnosis and 21 respondents with missing value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total of 9,902 respondents for analys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and descriptive analyses, Rao-scott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hat reflected surve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618 elderly people who answered 'yes' to their suicidal ideation were 6.7% of the total study population, and the elderly who had suicidal ideation by the longest job were 56(4.9%) among 1,185 white-collar, 138(8.6%) among 1,738 pink-collar 383(6.8%) among 6,035 blue-collar and 41(4.6%) among 944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longest job and suicidal ideation (p-value = 0.000). Through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icidal ideation in white-collar, age and education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pink-collar, age, marital status and annual household income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blue-collar and gender was a significant in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In addition to control variables, frequency of visits and contacts with relatives(including siblings), self reported health and depression scale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white-collar. Physical activity, nutritional status, unmet need for health care, self reported health and depression scale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pink-collar. In blue collar, it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requency of visits and contact with relatives(including siblings), smoking, nutritional status, unmet need for health care, self reported health depression scale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in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depression sca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The situation of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will require to focus on at the elder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refor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by the longest job is important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among the elderly.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suicide rat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the futu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for promoting health and welfare policies.
Files in This Item:
TA0312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6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