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4 2345

Cited 0 times in

수면의 질과 우울의 관련성: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K-PSQI)를 활용하여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using PSQI in Korean: A Cross-sectional study of KCHS 
Authors
 권경아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Because humans spend one third of their lives to sleep, good quality of sleep is essential for a healthy life. and Sleep epidemiologic study reported that about 10 to 45 percent of wordwide adults experience sleep problems. Therefore, studies on sleep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o explain good sleep. In order to analyze good sleep,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not only quantitative concepts such as sleep time, but also qualitative concepts such as sleep quality. Sleep quality i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sleep. This includes difficulty falling asleep, waking up during sleep, waking up too early, and so on. Poor sleep quality increases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in adults, and it has been found to be a factor inducing affective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Because sleep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health problems, it is studied in various health-related fields, including public health and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a potential risk of depression due to poor sleep qualit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sleep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result of 2018 data of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KCHS) was used. Among the respondents, those who received counseling due to depression were excluded. Finally a total of 176,794 (men: 78,356, women:98,438)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first,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on each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lso, all covariate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were simultaneously adjust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n factors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depression. In addition, standardized coeffici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ress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core fo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for men and women was 5.03 points and for women 5.98 points. Both men and women scored above 5 on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which is the poor sleep quality criterion. Alos, 34.9% of men and 46,8% of women had poor sleep quality. The poor sleep quality group was more than 6 times as likely to develop depression as those who did not, an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OR=7.02, 95% CI=6.17-7.99; female: OR=6.86, 95%) CI=6.20-7.59). In the sub-analysis study, the groups with low sleep quality, which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were as follows. For both men and women, th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age group in their 30s and 40s, the degree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hite-collar group (professional administrative manager), the current smoker, and the group who frequently drink more than 2-3 times a week.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standardized coefficients for depression of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ranked first in the rankings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depression. Also Sleep distubance ranked first, among the 7 factors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This study found that sleep quality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Particularly, this study show that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s the greatest influencing variable on depression tha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is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of modern people. Therefor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e people, health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sleep disorders and depression based on this.

인간은 일생의 약 3분의 1정도의 시간을 수면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질 좋은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좋은 수면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수면의 질’은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 중 자꾸 깨거나 너무 일찍 각성하는 등 수면에 대한 만족과 같은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국외의 수면 역학 연구에서는 성인의 약 10~45%가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불량한 수면의 질은 성인의 심근 경색증과 같은 관상 동맥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뿐만 아니라 우울과 불안과 같은 정동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보건학, 의학 등 다양한 건강 관련 분야에서는 수면의 질을 건강문제의 중요한 요소로 다루고 있다. 이 연구는 질병관리청이 조사한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수면의 질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수면의 질에 따른 우울 위험이 더 큰 대상자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응답한 인원 중 우울로 인한 상담을 받은 대상자를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76,794명(남성: 78,356명, 여성: 98,438명)을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먼저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관련 요인 등에 대한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통하여 각 변수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수면의 질과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의 7가지 세부 항목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각 단계별로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울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된 회귀계수(Standardized coefficient)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의 7가지 항목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평균 점수는 5.03점, 여성이 5.98점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의 나쁜 수면의 질 기준인 5점을 평균적으로 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 대상자 중 수면의 질이 나쁜 대상자는 남성이 27,378명(34.9%), 여성이 46,030명(46,8%)이였다. 수면의 질이 나쁜 군은 좋은 군에 비하여 우울할 가능성이 남녀 모두에서 6배 이상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남성: OR=7.02, 95% CI=6.17-7.99,; 여성: OR=6.86, 95% CI=6.20-7.59). 하위 그룹 분석 결과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은 남성과 여성 모두 연령이 30대에서 40대일수록,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일수록, 화이트칼라군(전문 행정 관리직)일수록, 현재 흡연자일수록, 일주일에 2-3회 이상 자주 음주하는 군일수록 우울과의 연관성이 컸다. 반면, 남성은 미혼이나 이혼·별거·사별한 경우일수록, 여성은 미혼이나 기혼일수록, 지역에서는 남성은 서울/경기군일수록, 여성은 광역시/세종시군일수록, 중-저소득의 남성일수록, 중-고소득의 여성일수록, 체질량지수(BMI)의 경우 남성은 비만할수록, 여성은 저체중일수록 우울과의 연관성이 크게 분석되어 성별 간 차이가 있었다. 모든 독립 변수들과 흥미변수의 우울에 대한 표준화된 회귀 계수 분석을 시행한 결과,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가 Ranking 1위로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분석 되었다. 또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7가지 항목과 우울과의 표준화된 회귀 계수를 분석한 결과 수면 방해가 Ranking 1위였다.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7가지 세부 항목과 우울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분석을 시행하였고, 7가지 수면의 질 지수 모두 가장 나쁜 상태인 3점으로 응답한 군이 우울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군으로 분석되었으며, 1점 보다 2점이, 2점보다 3점으로 응답한 군의 순으로 우울과의 관련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피츠버그 수면 의 질 지수의 7가지 항목과 우울과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수면의 질이 다른 독립변수들 보다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임을 수치적인 근거로 제시한 점과, 우울 발생이 높은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고질병인 수면 장애와 우울을 예방하고 국민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하여 보건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지속되길 바란다.
Files in This Item:
TA0311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6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