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 484

Cited 0 times in

가족형태변화가 노쇠에 미치는 영향: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ther Titles
 The effect of change in family form on Frailty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Aging Research Panel Survey 
Authors
 한석영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우리나라는 출생률의 저하와 평균 수명의 증가로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평균 결혼 연령, 미혼율 및 이혼율의 상승으로 인해 1인 가구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노쇠(frailty)는 일종의 퇴행변화로 자연스러운 노화와 달리 질병 발병률이 높아지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며 사망과 장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노쇠는 체력저하와 같은 신체적 노쇠와 인지장애와 같은 사회적 노쇠로 나눠져 고령자들의 건강에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가 고령자들의 노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족형태의 변화가 고령자의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를 위해 2006년(1차)부터 2018년(7차) 사이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50세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종속변수는 노쇠로 ▲1년 간 5kg 이상 체중 증가나 감소 ▲낮은 약력(남성 26kg미만, 여성 18kg미만) ▲일주일에 3일 이상 탈진인 경우 등 세 가지 모두를 충족할 때 노쇠에 해당한다고 정의했다. 또 선행연구에서 노쇠가 신체적 및 사회적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고 명시돼 있어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독립변수로 선별했다. 이후 반복 측정된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E)을 이용해 가족형태의 변화가 노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연구기간 동안 6,086명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7.59%에서 노쇠가 발생해 기존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70대 이상’에서 노쇠 유병률이 14.61%로 가장 높았고, 이후 연령이 낮을수록 노쇠 비율이 낮았다. 인지기능장애(K-mmse<24)나 친구와의 교류 여부도 노쇠 발병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노쇠가 신체뿐 아니라 심리, 사회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 GEE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가족과 함께 사는 고령자는 혼자 사는 고령자에 비해서 노쇠 발병 오즈비가 낮았다(OR=1.22, 95% CI=1.03-1.44). 다만, 남성이 여성보다 혼자 살 때 노쇠에 더욱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남자: OR=1.54, 95% CI=1.04-2.28, 여자: OR=1.23, 95% CI=1.02-1.49). 빠른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는 고령자들의 노쇠를 유발해 의료비 증가, 노년부양비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을 가중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를 통해 가족형태의 변화가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독립변수들을 알아볼 수 있었다.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라는 우리 사회 현상 속 노쇠에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면, 노쇠를 예방하며 조기진단 및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관련 연구와 정책적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In Korea, aging is progressing at a rapid pace due to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d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long with this,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lso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average marriage age, unmarried rate and divorce rate. Frailty is a kind of degenerative change, and unlike natural aging, the incidence of disease is high, it interferes with daily life, and the risk of death and disability is very high. Frailty is divided into physical frailty such as physical decline and psychological frailty such as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fatal to the health of the elder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hanges such as aging and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aging of the frail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anges in family form on the frailty. Methods: To this end, data over the age of 50 were used in the Aging Research Panel Survey between 2006(1st) and 2018(7th). The dependent variable is frailty, ▲ weight gain or decrease of 5kg or more for one year ▲ low biometric history (less than 26 kg for men and 18 kg for women) ▲exhaustion for 3 days or more per week, and it is defined that it corresponds to frailty. In addition, since previous studies stated that frailty can be divided into physical and social parts, various related factor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fter th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edly measured data,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GEE)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es in family shape on frailty. Results: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6086 subjects during the study period, frailty is 7.59%, and the previous studies and results are described. The prevalence of frailty was the highest at 14.61% in '70s and older', and the lower the age after that, the lower the old age rate. Cognitive dysfunction (K-mmse<24) and the presence of exchanges with friends also influenced the onset of frailty. This shows that old age is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s well as physical facto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GEE, elderly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had a very low odds of onset of senility compared to frailty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it turns out that older people are less likely to become frailty than living alon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men are more vulnerable to frailty when living alone than women. Conclusions: The rapid aging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induce frailty among the elderly, increasing the social burden by increasing medical expenses and increasing elderly support expens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anges in family form affect frailty. In addition,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frailty could be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frailty in our social phenomena, such as aging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help prevent frailty and help i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related 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a policy support plan.
Files in This Item:
TA031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6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