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3 601

Cited 0 times in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응급의료팀 인증에 대한 질적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study on the certific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mergency Medical Teams of the Korea Disaster Relief Team 
Authors
 김대동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국제 재난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은 외교부에서 파견하는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UN 재난대응팀에서는 해외긴급구호대를 구조팀과 응급 의료팀으로 각각 나누어 평가하는데 유엔 국제탐색구조자문단 주관의 인증평가에서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구조팀은 2011년 최상급인 Heavy 등급을 받아 그 역량을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았지만 응급의료팀의 경우는 아직 국제보건기구에서 인정하는 어떠한 등급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어떠한 부분에서의 준비와 개선이 시급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국제보건기구에서 배포한 응급의료팀별 최소기준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내 공공보건의료본부에 속한 재난 해외응급의료지원팀을 통해 최소기준에 대한 준비도 및 달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국제적십자사연맹과 국제보건기구의 해외응급의료팀 관리 문건을 바탕으로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 관련부서 실무자 및 실제 파견자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우리나라 해외긴급구호대의 응급 의료팀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의견을 전문가 의견법을 통해 수집 후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가 2016년부터 제 1형 응급의료팀 인증절차를 추진하였으나 현재까지 지연되는 이유는 인증준비 자체의 복잡성보다는 국가적인 관심과 지휘관련 구조에 있어 거버넌스가 부족해 준비 지속성과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 인증과정 중 자급자족과 관계된 물류준비 능력과 파견인력 소집에 관한 역량강화가 응급의료팀 활동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는 의견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재난구호 및 응급재난의료관련 전문가의 부족도 지적되었다. 외국 선진공여국과 우리나라와의 비교에서는 우리의 인도적 지원이 자연재난 후 지원에만 머무르는 한계가 있음과 좀 더 효율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국립의료원에서 물자의 순환활용이나 국방부의 군수송기를 활용과 같은 협약 및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역량이 검증된 비정부기구(NGO)과의 민관협력과 함께 재난의 종류에 따라 모듈별 팀 구성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결론: 우리 정부가 표방하는 체계적, 통합적, 효율적 개발원조를 달성하고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의 세계보건기구 인증을 위해서는 총괄적인 재난상황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을 위해 주관기관과 시행기관의 체계적 추진체계 구축과 효율적인 거버넌스의 위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응급의료팀의 인증획득과 물류전문가 및 공적개발원조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으로서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갖추어 세계적 유행시대에 살고 있는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역량에 맞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 Humanitarian activities by Korea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disasters a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the Korea Disaster Relief Team(KDRT) dispatch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UN Disaster Response Team evaluation criteria regarding overseas emergency relief teams are divided into rescue team and emergency medical team(EMT). In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ducted by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 the rescue team of the KDRT received the highest grade of Heavy in 2011, and their capabilities were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the EMT of the KDRT does not yet have any grades recogniz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rom 2016 to the present, it is preparing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type 1 fixed EM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reas of preparation and improvement are urgently needed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WHO Type 1 fixed EMT of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 on the minimum standard capacity for EMT, the level of readiness and achievement of the minimum standards was looked into by investigating the EMT activity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we sought to come up with an improvement plan by gathering expert opinions on the capabilities that the EMT of the KDRT should have. Results : Korea has promoted its certification process for type 1 EMT since 2016, but has been delayed due to the lack of governance in the command structure and nationwide interest rather than the complexity of the certification preparation itself.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issues seem to be on the ability to prepare enough logistics to enable self-sufficiency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dispatched personnel. The shortage of experts related to disaster relief and emergency disaster medical treatment has also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prevents efficient KDRT EMT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advanced foreign donor countries, there is a limit in Korea’s humanitarian aid in that it is confined to natural disasters. It has been found that agreements and support systems such as the circulation of material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and the use of military transport aircraft were needed for more efficient and diverse activ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orming teams by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s well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with verified capabilit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capacity of the emergency medical team. Conclusion : In order to achieve systematic, integrated and efficient development assistance advoc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o be certified by the WHO EMT, an organized implementation system and efficient governance of the host and enforcement of agencie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this e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of the EMT and collaboration with logistics experts as well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we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o play a role that fits our capabilities in this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age of a global epidemic.
Files in This Item:
TA0309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6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