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8 1407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동영상 기반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가희-
dc.date.accessioned2021-11-18T02:24:03Z-
dc.date.available2021-11-18T02:24:03Z-
dc.date.issued2021-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620-
dc.description.abstractThis methodological study developed a video-based critical care nutrition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In this study, the steps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within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were follow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each stage of research. 1. The composition items for critical care nutrition support included the contents commonly address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The items consisted of the importance of nutrition suppor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nutrition support plan, implementation of nutrition support,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nutritional support,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nd the role of nutrition support team. 2.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nurses working in the adult ICU of a tertiary academic medical center. The main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 interview data were difficulties in nutritional suppor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provision of nutrition support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nd preferred educational methods. 3. Content validity of the composition and the draft scenario was evaluated by the expert group. Content Validity Index (CVI) scores for all items were .80 or higher. The final scenario was compiled after addressing and incorporating additional suggestions from the expert group. 4. Based on the scenario, the draft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leted. Education contents, animation production and filming, narration recording, and editing were performed by the author. Interviews with the medical staff working as a nutrition support team significantly enhanced the expertis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expert group and CVI scores for all items were .80 or higher. 5. Twelve intensive care unit nurses evaluated the acceptability of the education program video using the video program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Hyo-Jeong Park (2001). The score for each item ranged from 4.0 to 4.8. Additional suggestions were incorporated to finalize the education program. This education program is one of the few critical car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Korea ICU nurses. Disseminating this video-based education program is likely to promote ICU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competency in implementing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Future studies should evaluate the practical impact of this educational program. 본 연구는 문헌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 영양지원 관련 교육 요구 조사를 토대로 동영상 기반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교수 설계 방법 중 하나인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 중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각 단계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석(Analysis) 1) 문헌고찰: 기존 교육자료 검토를 통해 가이드라인 6편, 논문 4편, 출판물 2편, 동영상 3편을 분석하였다. 해당 문헌들에서 공통으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도출된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에 관한 구성은 중환자 영양지원 중요성, 영양상태 사정, 영양지원 계획, 영양지원 수행, 영양지원 적정성 평가와 감시, 영양지원과 관련된 합병증과 간호, 영양집중지원팀 역할 총 7개였다.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일 상급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2명을 목적 표집 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중환자 영양지원과 관련된 중요한 주제는 중환자 영양지원 시 어려운 점,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요구 내용, 선호하는 교육 방법으로 나타났다. 2. 설계(Design)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전략 및 평가도구를 수립하였다. 3. 개발(Develop) 1) 구성안과 시나리오 초안을 개발 후 전문가 타당도 평가를 거쳤다. 각 전문가 내용 타당도의 모든 항목이 0.80 이상으로 전문가 합의를 이루었다. 추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최종 시나리오를 완성하였다. 2) 시나리오를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동영상은 교육 내용 애니메이션 제작, 내레이션 녹음, 촬영, 편집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내레이션 녹음은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으며, 영양집중지원팀으로 근무하는 의료진을 인터뷰하여 전문성을 높였다. 교육 프로그램 초안 전문가 내용 타당도의 모든 항목이 0.80 이상으로 전문가 합의를 이루었다. 추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3) 완성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박효정(2001)이 개발한 비디오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적합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교육 요구 조사에 참여한 중환자실 간호사 12명이 평가하였고 항목별 점수는 4.0-4.8이었다. 추가 의견을 토대로 동영상 기반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환자 영양지원과 관련된 최신 문헌고찰,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요구에 기반하여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동영상 기반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의 보급을 통해 중환자 영양지원에 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과 인식, 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추후 연구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평가를 제언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동영상 기반 중환자 영양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 Video-Based Critical Care Nutrition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a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