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246

Cited 0 times in

The influence of distance from the wound margin to the insertion point in a mattress suture on ideal primary closure in alveolar mucosa: an in vitro experimental stud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원호-
dc.date.accessioned2021-11-18T02:23:53Z-
dc.date.available2021-11-18T02:23:53Z-
dc.date.issued2021-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93-
dc.description.abstractPurpose: To determine how the distance of the near insertion points in a vertical mattress suture from the wound margin influences the pattern of primary closure in an in vitro experimental model. Materials and methods: Pairs of 180 porcine gingiva and alveolar mucosa samples were harvested from 90 pig-jaws and fixed to a specially designed model. A vertical mattress suture was performed with the near insertion point at thre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wound margin (1, 3, and 5mm) on both the gingival and mucosal samples (six groups; n=30 for each group). The margin discrepancy and the presence of epithelium between the wound margins were measured on histologic slides. Results: The margin discrepancy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near insertion point became closer to the wound margin in both mucosal tissue (0.241±0.169mm, 0.945±0.497mm, and 1.306±0.773 mm for 1-, 3-, and 5-mm group, respectively) and gingival tissue (0.373±0.304mm, 0.698±0.431mm, and 0.713±0.691mm,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complicated wound margin adaptations reduced as the distance of the near insertion point from the wound margin decreased in both mucosal and gingival tissues. Conclusions: Placing the near insertion point close to the wound margin enhances the precision of wound margin approximation/adaptation in vertical mattress suture. 수직누상봉합은 치주수술과 임플란트 수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수직누상봉합의 임상적인 프로토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이, 근위자입점의 위치가 일차 창상 폐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문헌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직누상봉합을 시행할 때 창상변연으로부터 근위자입점까지의 거리가 어떻게 일차 창상 폐쇄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모델에서 수행되었다. 총 180 쌍의 돼지 치은과 치조점막 샘플이 90개 돼지 턱 카데바에서 채취되었으며, 치조제의 형태를 모방하여 특별히 고안된 모델에 고정되었다. 치은과 치조점막 샘플의 창상변연으로부터 근위자입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각 3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1, 3, 그리고 5mm), 전체 6개의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군당 샘플은 30개로 설정되었다. 각각의 연조직 샘플에 수직누상봉합을 수행하였고, 두 연조직 판막 사이의 창상 경계 불일치 정도와 상피의 존재 여부가 조직슬라이드 상에서 계측되었다. 창상 경계 불일치 정도는 치조점막 조직과 치은조직에서 모두 근위자입점의 위치가 창상경계로 가까워질수록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적인 치유를 방해하고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부적절한 창상변연 접합의 빈도는 창상변연으로부터 근위자입점까지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치은과 치조점막 조직에서 모두 줄어들었다.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창상변연에 가깝게 근위자입점을 위치시키는 것은 수직누상봉합에서 창상변연의 접근 및 접합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으며, 이러한 발견은 수직누상봉합 기술에서 창상변연에 더 가까운 자입점을 사용하는 지침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The influence of distance from the wound margin to the insertion point in a mattress suture on ideal primary closure in alveolar mucosa: an in vitro experimental study-
dc.title.alternative창상 변연으로부터 누상봉합의 자입점까지의 거리가 이상적인 일차 창상 폐쇄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Others (기타)-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Ho-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