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 771

Cited 0 times in

침윤성 방광암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vigation Program for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Authors
 이종민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박사
Issue Date
2021-08
Abstract
본 연구는 침윤성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IMCHB)을 기반으로 근치적 방광절제술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Radical Cystectomy-Navigation Program, RC-NP)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근치적 방광절제술 후 건강기능, 질병인식, 건강결과, 혈역학적 검사, 재입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상호작용 요소를 반영하여 환자들이 능동적으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기 위해 Cox(2003)의 IMCHB에서 제시된 주요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환자 특성과 환자-전문가 상호작용 요소에는 정서적 간호, 교육적 간호, 의사결정 참여를 포함하여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수술 후 시간대 별 건강문제와 간호문제가 예상되는 시점에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문제와 간호문제 발생 시 적시에 해결하기 위해 Fillion 등(2009)이 제시한 Professional Navigation Framework의 내비게이션에서 돌봄의 연속성과 임파워먼트 증진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개발과정은 Seels와 Richey (2012)가 제시한 체계적 교수설계에 따라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 설계, 개발, 수행 및 평가의 단계로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침윤성 방광암 환자 대상으로 시행한 관련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하였고, 10명의 근치적 방광절제술을 받은 환자들과 돌봄 제공자들을 심층면담 하여 간호요구를 확인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내용으로 프로그램의 회차 별 주제와 목표, 세부 내용 및 활동, 적용 방법에 대해서 계획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설정하면서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근치적 방광절제술을 받을 환자 5명에게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연구 환자들의 반응과 프로그램을 실제 수행 가능성에 대해서 평가하여 다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2020년 6월 22일부터 2021년 5월 17일까지 일개 상급 종합병원에 입원하여 근치적 방광절제술을 받을 60명 대상으로 탈락자 없이 자료수집 하였고,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연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을 위해 건강기능, 질병인식, 건강결과, 혈역학적 검사, 재입원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과 χ2-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가설검정을 위해 건강기능, 질병인식, 건강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대 별 차이를 일반선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요구되는 정규성, 구형성, 등분산성 가정을 확인 후 분석하였다. 실험군의 효과를 시간과 그룹의 교호작용의 유의함이 입증되면 시간에 따른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Bonferroni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과 관련하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평균연령은 67세이며, 수술방법에 따른 인공방광 대치술 32명(53.3%), 회장도관 조성술 28명(46.7%), 교육정도는 고졸이 33명(55.0%)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은 36명(60.0%) 있었으며, 월 평균 소득은 235만원, 흡연력은 38명(63.3%), 음주력은 26명(43.3%)이 있었다. 이전 입원경험은 평균 3.17회, 이전 경요도 방광종양 절제술 경험은 평균 1.68회였다. 그 결과 두 그룹 간의 동질성 분석결과 차이가 없었다. 2.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건강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이 시간에 따라 건강기능의 차이가 있었고(F=36.85, p=<.001), 사후분석에서 실험군이 퇴원 전 건강기능의 점수가 높아 가설1은 채택되었다(F=19.62, p=.008). 3.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질병인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이 시간에 따라 질병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나(F=4.81, p=.030), 사후분석에서 두 그룹의 시간에 따른 수술 7일(F=6.46, p=.667), 퇴원 전(F=0.54, p=.689)에 프로그램 효과가 없었고, 실험군의 질병인식 점수가 낮아 가설2는 기각되었다. 4.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건강결과 효과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이 수술 후 7일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시간에 따라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시간(F=63.38, p=<.001)에는 교호작용이 유의하였으나 집단(F=1.56, p=.215)에는 유의하지 않아 사후분석을 시행하지 않았다(F=2.94, p=.092).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가 없었고, 실험군의 건강결과 점수가 낮아 가설3은 기각되었다. 5.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혈역학적 검사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을 적용한 두 그룹간의 Hb(t=-0.90, p=.371), CRP(t=0.19, p=.846), sodium(t=-0.74, p=.458), potassium(t=-0.61, p=.546), albumin(t=0.17, p=.862), total CO2(t=-0.35, p=.730)의 차이가 없어 가설4는 기각되었다. 6. 침윤성 방광암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재입원 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 5명, 대조군 6명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재입원 환자의 수가 적어 가설 5는 채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는데 대부분 노인이고 우리나라의 유교적인 문화로 질병인식을 높이는데 제한이 있었고, 건강결과는 신체적, 기능적인 영역을 높이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환자에게 약물적인 중재가 제공되어 혈역학적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에 제한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환자들의 포괄적인 건강기능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11가지 건강기능을 측정하였는데, 프로그램을 통해 퇴원 전 건강기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고, 퇴원 전 환자들의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퇴원 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비계획적인 재입원을 줄이고 의료비용을 감소하는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광범위한 문헌고찰과 환자, 돌봄 제공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간호요구를 반영하였고, 수술 후 건강문제와 간호문제를 예방하고, 적시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개념을 적용하여 환자들에게 질 높은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나아가 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근치적 방광절제술 후 표준화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퇴원 후 효과적인 건강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adical Cystectomy - Navigation Program, RC-NP for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Methods: This study used methodological research to develop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and the concepts of continuity of care and promotion of impression from the Professional Navigation Framework(2009).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with the goals of improving health function, perception of illness, health outcome, normal of hemodynamic, and lowering readmission in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as entered into the SPSS/WIN 21.0 software. Results: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DDIE model. according to the systematic teaching design presented by Seels and Richey(2012). As a part of the analysis,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including e-books, books, and prior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tients and caregivers identified the nursing need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esign phase established program topics, objectives, intervention, details and activities. In the Development phase, based on the draft for the program,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through expert feasibility verification.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five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cystectomy. In the Evaluation phas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evaluate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and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the program,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ogram again to develop the final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for invasive bladder cancer pati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homogeneity analysi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s health fun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iffered in health function over tim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F=36.85, p=<.001). The effectiveness of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in determining perception of illness, the poi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F=4.81, p=.030). Upon measuring the health outcome using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program decreased from 138.03 points on the seventh day after surgery to 127.03 points before dischar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health outcom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ver time(F=2.94, p=.092). Hemodynamic testing in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being readmitted within discharge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adical Cystectomy Navigation Program can provide a variety of nursing interventions, including those for physical functions and emotional and family/social issues, contributing to continuous and efficient health care after hospital discharge.
Files in This Item:
TA029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5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