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 617

Cited 0 times in

2019년 파주지역 군부대 말라리아의 역학적 특성

Other Titles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aria in military units in Paju in 2019 
Authors
 최지완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Vivax mlaria in Korea is one of the infectious diseases that have not been eradicated despite the government's strong eradication efforts and academic research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malaria in military units in 2019, targeting Paju, where patients are the most common in both military and private malaria outbreak areas in Korea. Methods: Among the soldiers who served in the military base in Paju in 2019, 22 cases who were diagnosed with malaria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military mosquito monitoring station collected mosquitoes for 22 weeks (18 to 39 weeks) from May to September 2019. Data on the outbreak of civilian patients were provided by the Paju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results of monitoring mosquitoes at the private monitoring center in Paju were provided by the Division of Vectors and Parasitic Diseases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for the population number of Paju in 2019, and data from the Meteorological Agency for the average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relative humidity of Paju in 2019. The incidence of malaria patients and the monthly incidence of malaria in the military and private sectors were reported, the number of vector mosquitoes per month and the number of positive pools were described, and the military and private sectors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military and private mosquito monitoring results was examined by Wilcoxon ranking sum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factors and mosquito monitoring results and the number of patients was examin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 2019, the incidence rate of malaria patients in the Paju region per 100,000 population was 70.4,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ivate sector 17.8. In the military, the first patient occurred in April, but in the private sector, the first patient occurred in March, one month earlier than the military. Among the mosquitoes collected, malaria-borne mosquitoes accounted for 48.9% of the military and 34.3% of the private sector,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of malaria-borne mosquitoes collected in military uni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ivate sector. From the results of conversion to the Trap Index (TI), private monitoring stations have 31.8 total mosquitoes per year, 10.9 for vector mosquitoes, and 5.7 total mosquitoes per year in military monitoring stations, and 2.6 for vector mosquitoes. The density was 6 times higher and the vector mosquito was 4 times higher. As for sporozoite-positive vector mosquitoes, 9 pools were detected in the military and 5 pools were detected in the private sector. In Units A, C, and D, both patient and protozoan-positive vectoring mosquitoes were identified, but in Units B and E, neither patient nor sporozoite-positive vectoring mosquitoes were identified,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ivate secto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number of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and the number of mosquitoes,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the number of vector mosquito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and the number of sporozoite-positive vector mosquito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t is possible that the military units in Paju region are at higher risk of infection with malaria than the private sector in terms of vectoring mosquitoes. Therefore, prevention activities through the vector mosquito surveillance should be continuously implemented in the future, and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military malaria patients and the malaria-borne mosquito monitoring project should be conducted in the entire malaria-risk area.

배경 및 목적 : 현재 우리나라에서 말라리아는 정부의 강력한 재퇴치 노력과 학계의 많은 연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절되지 않고 있는 감염병 중 하나이다. 군에서는 말라리아 위험기간 동안 방제활동,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 예방약 복용 등을 계속 강조하고 있으며, 그 결과 매년 환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9년부터 육군에서는 정부의 말라리아 재퇴치 사업의 일환으로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의 도움을 받아 육군본부와 각 지역 예방의무근무대를 중심으로 휴전선 접경지역에서의 매개모기에 대한 감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말라리아 발생지역 중 군과 민간 모두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파주지역을 대상으로 2019년 군부대 말라리아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9년 현역장병 환자 발생 자료와 2019년에 파주지역에서 운영했던 5개 군 운영 감시소, 4개 파주시 보건소 운영 감시소의 매개모기 감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9년 파주지역 군부대에서 복무했던 장병 중 말라리아로 확진 판정을 받은 22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민간인 환자 발생 현황은 파주시 보건소, 파주지역 민간 감시소 매개모기 감시 결과는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로 요청하여 자료를 제공받았다. 군 매개모기 감시소에서는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22주(18~39주) 동안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모기는 육군 예방의무근무대에서 매개모기를 분류하여 밀도를 조사하였고, 질병관리청 매개체분석과에서 PCR을 통해 매개모기의 원충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9년 파주지역의 인구수는 통계청, 2019년 파주지역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였다. 2019년 군과 민간의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과 월별 환자 발생 추이를 보고하였고, 월별 매개모기 수와 양성 풀 수를 기술하고 군과 민간을 비교하였다. 월별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등 기상요인과 매개모기 및 말라리아 환자 발생, 임진강 이북지역과 이남지역 등 지리적요인과 매개모기 및 말라리아 환자 발생을 기술하였다. 군과 민간의 매개모기 감시 결과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합 검정, 기상요인과 매개모기 감시 결과 및 환자 수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2019년 파주지역 군인 말라리아 환자의 인구 10만명 당 발생률은 70.4명으로 민간의 17.8명보다 4배 높았다. 군에서는 4월에 첫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민간에서는 군보다 한 달 이른 3월에 첫 환자가 발생하였고, 군은 6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민간은 7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다. 채집한 모기 중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군이 48.9%, 민간이 34.3%로 군부대 내에서 채집한 말라리아 매개모기 비율이 민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간 채집된 매개모기 수는 군 감시소 615마리, 민간 9,467마리였다. 모기지수(Trap Index, TI)로 환산한 결과에서, 민간 감시소는 연간 전체모기가 31.8, 매개모기가 10.9, 군 감시소는 연간 전체모기가 5.7, 매개모기가 2.6으로 확인되어, 민간 감시소에서 전체모기는 6배, 매개모기는 4배 높은 밀도를 보였다. 원충 양성 매개모기는 군이 9개 풀, 민간이 5개 풀이 검출되었다. 군 감시소에서 발생한 군인 환자와 채집한 매개모기의 주차별 발생 현황을 비교해 본 결과, 4월에 발생한 군인 환자는 2018년에 감염된 장기잠복기 환자로 추정을 하였고, 환자 발생 이전에 채집된 원충양성 매개모기는 군부대 밖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군 감시소 중 A부대, C부대, D부대에서는 환자와 원충양성 매개모기가 모두 확인되었으나, B부대와 E부대에서는 환자와 원충양성 매개모기가 모두 확인되지 않아 차이가 있었다. 2019년 파주지역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등 월별 기상요인, 월별 매개모기 감시 결과, 월별 환자 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민간은 기상요인과 전체모기 수, 기상요인과 매개모기 수, 전체모기 수와 환자 수, 매개모기 수와 환자 수, 원충양성 매개모기 수와 환자 수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군 감시소를 임진강을 기준으로 이북지역과 이남지역으로 구분하여 매개모기 감시 결과와 군인 환자 수를 비교해 본 결과, 임진강 이북지역에서 채집된 전체모기 수와 매개모기 수가 이남지역 보다 9~12배 많았고, 특히 군 감시소에서 발생한 군인 환자 9명과 원충양성 풀 9건 모두 임진강 이북지역에서 발생하였다. 남방한계선과 군 감시소 간의 거리와 매개모기 감시 결과, 거리와 환자 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남방한계선과 감시소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매개모기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파주지역 군부대는 매개모기 측면에서 민간에 비해 말라리아에 감염될 위험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환자가 발생했거나 원충양성 매개모기가 채집된 군부대는 집중 방제활동 시행, 모기 기피활동 강화,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 강조 등 예방적 조치를 시행하였는데, 이러한 조치는 최근 군 말라리아 환자 발생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향후 매개모기 감시 사업을 통한 예방활동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하겠으며, 말라리아 위험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군 말라리아 환자감소와 말라리아 매개모기 감시 사업과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A027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3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