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917

Cited 0 times in

자궁경부암에 따른 정신질환 발생 차이: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자료를 이용하여

Other Titles
 The Difference of Mental Disorders Risk by The Onset of Cervical Cancer: A Cohort Study 
Authors
 차현정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구축한 표본코호트DB를 근거 자료로 하여 자궁경부암 진단에 따른 정신질환 진단 여부를 추적 조사하여 우리나라 자궁경부암 여부에 따른 정신질환 발생 위험간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자궁경부암 환자에 대한 정신질환 예방 및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에 등록된 대상자 중 2004년에서 2012년 사이에 자궁경부암 진단 여부를 노출 변수로 하여 자궁경부암 진단군과 미진단군으로 대상자를 구분하였고, 1년 이내 정신질환 발병 위험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이후 정신질환 발생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2013년에 자궁경부암을 새롭게 주상병 코드로 청구한 사람은 진단군에서 제외하였다. 자궁경부암 미진단군과의 정신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하기 위해, 진단일자(Index date) 이전에 censoring된 사람들을 제외하고 전체 코호트 기간 중 자궁경부암을 미진단군 가운데 20세 이상 여성들을 진단군 개인의 후보군으로 연령, 진단일자(Index date), 찰슨 동반상병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를 사용하여 1대 3의 비율로 직접 매칭(exact matching)하였다. 정신질환은 자궁경부암 진단 시점으로부터 1년 동안의 주상병 및 부상병 청구코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자궁경부암 진단군과 미진단군의 진단일자(Index date) 이후 1년 동안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률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들을 영향 요인 보정하여 콕스비례위험회귀분석(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1년 동안의 정신질환 누적 발생률(Cumulative incidence plot)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향 요인으로 보정한 독립변수에 대한 하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궁경부암 진단에 따른 1년 이내 정신질환 누적발병률을 비교한 결과, 미진단군 대비 진단군의 1년 이내 정신질환 발생의 누적발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4). 자궁경부암 진단 및 정신질환 발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인 독립변수들을 보정하여 콕스비례위험회귀모형으로 진단군과 미진단군의 1년 이내 정신질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자궁경부암 진단군에 있어 진단 이후 1년 이내 정신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Hazard Ratio(HR), 1.37; 95% Confidence Interval(CI), 1.13-1.65; p=0.0013]. 자궁경부암 발생 위치와 치료 수준에 따라 분류한 자궁경부암 중증도(severity)에 있어서는 중증도에 상관없이 모두 정신질환 발생 위험이 높았고, 그 중 전이(metastasis)되거나(HR, 1.43; 95% CI, 1.08-1.90; p=0.0127) 중증도 미상(Unknown)인 경우(HR, 1.47; 95% CI, 1.00-2.16; p=0.0474), 정신질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1년 이내에 발생한 정신질환 중에서도 정신질환 분류 가운데 기분 장애(HR, 1.46; 95% CI, 1.02-2.10, p=0.0374), 수면 장애(HR, 2.39; 95% CI, 1.68-3.40, p<.0001), 기타 정신질환(HR, 2.34; 95% CI, 1.15-4.76; p=0.0185)의 경우 미진단군 대비 자궁경부암 진단 이후 1년 이내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자궁경부암 환자에 있어 정신질환의 발생 위험은 암 진단 1년 내에 가장 높았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정신질환 치료에 있어 보다 포괄적이고 완화적인 치료적 접근을 이루어진다면 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과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의료비용의 감소에 대한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ental disorders risk by the onset of cervical cancer utiliz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2002-2013) data. Methods: In the concept of a retrospective matching cohort study, we identified eligible subjects between 2004 and 2012 into two groups; cervical cancer and non-cervical cancer, by the onset of cervical cancer as a main disease code extracted by a 1:3 exact matching using age,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index year from 2004 to 2012 among aged 20 or more women and followed up them with the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coded as a main or sub-disease code within 1 year after index date until 2013. We mainly use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to estimate hazard ratios (HR) of mental disorders risk and examined cumulative incidence plot between cervical cancer and non-cervical cancer groups. Results : In the total 3,764 samples (cervical cancer n=981, non-cervical cancer n=2,823), the cumulative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within 1 year after index date among the cervical canc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e non-cervical cancer group(p=0.0014). After adjusting the impacts from independent variables, the incidence of mental disorders was analyzed significantly high with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Hazard Ratio(HR), 1.37; 95% Confidence Interval(CI), 1.13-1.65; p=0.0013]. We further found out that the risk of mental disorders in the cervical cancer group was high regardless of severity which was set by cancer location and treatments. In addition, Among mental disorders, the incidence risk of mood disorders, sleep disorders, and other mental disorders were higher in the cervical cancer group compared to the counter group (HR 1.46, 2.39, 2.34; 95% CI 1.02-2.10, 1.68-3.40, 1.15-4.76; p=0.0374, <0.0001, 0.0185), respectively. Conclusion : Cervical cancer patients have relatively higher mental disorder risk especially within 1 year after its diagnosis. Mental health consultation and examination needs to be supported along with cancer treatment. Comprehensive treatment strategy between oncology and psychiatry might be required in the course of cervical cancer patient treatment.
Files in This Item:
TA027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3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