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 251

Cited 0 times in

Effect of the duration of ideal cardiovascular health metrics on the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Other Titles
 이상적 심혈관건강지표 지속기간이 만성신장질환 및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조소미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박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서론 최근 포괄적인 심혈관건강지표를 이용하여 심뇌혈관질환의 일·이차 예방 전략을 개발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연령, 성별, 인종, 질병 과거력 등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시간에 따른 위험요인의 변화 양상 및 누적위험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중년 한국인에서의 포괄적 심혈관건강지표가 이상적인 수준으로 유지되는 기간이 만성신장질환 및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인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KoGES Ansung-Ansan)에 참여한 40-69세 대상자 중 기반조사에서 만성신장질환이 없었던 7,854명과 심혈관질환이 없었던 7,7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적 심혈관건강지표는 체질량지수, 혈압,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흡연, 음주, 신체활동 수준에 따라 정의되었다. Cox비례위험모형을 시행하여 이상적 심혈관건강지표 지속기간과 만성신장질환 및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기반조사에서의 참가자 평균 연령은 50.0세였고 47.9%는 남성이었다. 중앙값 기준 15.0년의 추적조사 기간 동안 1,401건의 만성신장질환과 493건의 심혈관질환이 관찰되었다. 이상적 심혈관건강지표 유지기간이 5년 미만인 군에 비하여, 5-10년 군의 만성신장질환 상대위험도는 0.63 (95% 신뢰구간 0.39-0.93), 10년 이상 군의 상대위험도는 0.33 (95% 신뢰구간 0.15-0.74)이었다. 마찬가지로 심혈관건강지표 유지기간 5년 미만 군에 비하여, 유지기간이 5-10년 군의 심혈관질환 상대위험도는 0.83 (95% 신뢰구간 0.54-1.27), 10년 이상 군의 상대위험도는 0.22 (95% 신뢰구간 0.08-0.60)이었으며, 심혈관질환 중에서 특히 관상동맥질환 및 뇌혈관질환 위험도와 강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심혈관건강지표가 이상적인 수준으로 유지되는 기간이 길수록 만성신장질환 및 심혈관질환 발생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중년기에서의 적극적인 생활습관개선과 약물치료로 심혈관건강지표를 이상적 수준으로 오래 유지하는 것이 심혈관질환의 질병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Introduction: Increasing number of clinical guidelines are adopting comprehensive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tools for treatment decision and disease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Yet,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exact cardiovascular risk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favorable cardiometabolic health sustenance in midlife. Methods: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Ansung-Ansan cohort, we included 7,854 middle-aged adults without chronic kidney disease and 7,796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at baseline. Duration of ideal cardiovascular health was the sum of time spent with ideal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cigarett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We employe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assess chronic kidney disease and cardiovascular events risk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0.0 years and 47.9% were male. Over a median follow-up of 15.0 years, 1,401 new chronic kidney disease and 493 new cardiovascular disease occurred. With <5 years group as the reference, multivariable-adjusted hazard ratios [95% confidence intervals] for chronic kidney disease were 0.63 [0.39-0.93] with 5 to 10 years and 0.33 [0.15-0.74] with ≥10 years of ideal cardiovascular health (P trend, 0.0057). Similarly, participants lived with longer ideal cardiovascular health had significantly lower cardiovascular disease (5 to 10 years, 0.83 [0.54-1.27]; ≥10 years, 0.22 [0.08-0.60]). Subtype-specific analyses indicated negatively graded risk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P trend, 0.0239)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 trend, 0.0514). Conclusion: Our findings confer that maintaining favorable health behaviors and clinical cardiometabolic profile in midlife will improve later-life cardiovascular outcomes.
Files in This Item:
TA028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34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