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9 505

Cited 0 times in

Universal Eye Health and its relation to Digital Health: A Systematic Analysis

Other Titles
 보편적인 안구 건강과 디지털 건강과의 관계 : 체계적인 분석 
Authors
 MIKHAIL MARIA EZZAT AZER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1-02
Abstract
Abstract Background Despite the vigorous efforts of different Global public health sectors regarding eye health. It became now available, but not yet to everyone. From here appeared the urge of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Eye Health (UEH) to ensure reducing social inequality in eye health services delivery and improving eye services’ coverage. Digital Health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frontier in health care services delivery nowadays.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UEH and the role of Digital Health as an additive factor in improving it. Methods This is an observational retrospective study. 2 methods where used for in-depth study of current situation of digital eye health in LMICs; Country profiles of the studied countries from different WHO regions and systematic analysis. Literatures have been searched at three search engines: PubMed, Google Scholar, and Cochrane Library. An overview of review articles was conducted using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PICO) framework. Search keywords were; “Digital health”, “Smart health”, “eye health”, “Cataract”, and etc. Our 37 publications were identified as suitable regarding the three expected categories of outcomes. Results Digital health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attainment of UEH in the studied countries. Three categories of outcomes representing the effect of digital health were found in the systematic analysis which helped in improving the eye health system: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ocular diseases, quality of eye health services and access to the eye health services.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on digital eye health in Egypt was identified as well. Conclusion Digital health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additive factor in the attainment and expansion of UEH in many of the studied countries. Portable screening devices, Fundus photography, and retinal diagnostics AI innovations and Teleophthalmology have become the black horse of the eye field nowadays but still used in a limited range in many countries in need of such technologies. Using EHRs in research and gathering data for cataract surgical indicators still also used in a very narrow scope which needed to broaden. As it is strongly needed to monitor UEH indicators to be able to have a real assessment of the countries’ progress in their national eye plans and improve access and quality of eye services and of patient life, especially in LMICs. Keywords: Universal Eye Health, Cataract, Diabetic Retinopathy, Retinal Diagnostics, and Digital health.

배경: 안구 건강에 대한 다양한 글로벌 공중 보건 부문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할 수 있지만 아직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에서 안구 건강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고 안과 진료 서비스 범위를 개선하기 위해 보편적 안구 건강 개발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습니다. 모바일 건강은 오늘날 건강 관리 전달의 중요한 영역이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보편적 인 안구 건강의 가용성과 접근성과이를 개선하는 추가 요소로서 디지털 건강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방법: 이것은 관찰 후 연구입니다. 저소득 국가의 디지털 안구 건강 현황에 대한 심층 연구에 사용 된 2 가지 방법 다른 세계 보건기구 지역에서 연구 된 국가의 국가 프로필 및 체계적인 분석. 문헌은 세 개의 검색 엔진에서 검색되었습니다. 리뷰 기사의 개요는 환자, 개입, 비교 및 결과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검색 키워드는 "모바일 건강", "스마트 건강", "눈 건강", "백내장"등입니다. 당사의 37 개 간행물은 세 가지 예상 결과 범주와 관련하여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결과: 디지털 건강은 연구 대상 국가에서 보편적 인 안구 건강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습니다. 디지털 건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의 세 가지 범주는 안구 질환 환자의 삶의 질, 안구 건강 서비스의 질 및 안구 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라는 안구 건강 시스템 개선에 도움이되는 체계적인 분석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이집트의 디지털 안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되었습니다. 결론: 디지털 건강은 많은 연구 국가에서 보편적 인 안구 건강의 달성과 확장에 중요한 추가 요소로 부상했습니다. 휴대용 스크리닝 장치, 안저 영상 및 망막 진단 AI 혁신과 모바일 안과는 오늘날 눈 분야에서 흑마가되었지만 이러한 기술이 필요한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백내장 수술 지표에 대한 연구 및 데이터 수집을위한 전자 건강 기록의 사용은 확장이 필요한 매우 좁은 범위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국가에 대한 실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UEH 지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국가 안구 계획의 진전과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안과 서비스 및 환자 생활의접근성과 질을 개선합니다
Files in This Item:
TA028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51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