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279

Cited 0 times in

Minimum 5-year follow-up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 complete repair with aggressive release versus partial repair alon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증열-
dc.date.accessioned2020-12-23T06:03:12Z-
dc.date.available2020-12-23T06:03:1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158-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a minimum 5-year follow-up period for repair of a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 performed using arthroscopic complete repair with a posterior interval slide or partial repair without the posterior interval slid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fifty-eight patients with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for whom arthroscopic complete repair was not feasible using anterior interval slide and margin convergence alone. Each patient underwent either arthroscopic complete repair with an additional posterior interval slide and a following side-to-side repair of the interval slide edge (Group C) or arthroscopic partial repair with margin convergence alone, without the additional posterior interval slide (Group P). Patient assignment to treatment group was not randomized. Functional assessments included th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 subjective shoulder value,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houlder score, and active range of motion. The preoperative and 6-month follow-up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images were compared within- and between-groups.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functional values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values (p < 0.001). A re-tear was identified in 88% (22/25) of the patients in Group C; they had larger re-tear sizes (p = 0.001) and shorter acromiohumeral distances (p = 0.007), compared with Group P patients. Conclusion: At the early postoperative follow-up MRA, the complete repair group with a posterior interval slide (Group C) had 88% re-tear rate and larger re-tear sizes than the partial repair group without a posterior interval slide (Group P). This early inferior radiological outcome led to significantly shorter acromiohumeral distances in the complete repair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linical outcomes during the minimum 5-year follow-up period. 배경: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후방 간격 슬라이드를 통해서 완전봉합 또는 후부 간격슬라이드 없이 부분적인 봉합을 사용하여 수행된 대형 회전근 개 파열의 수복을 위한 최소 5 년 추적 관찰 기간동안 임상 및 방사선 학적 결과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에는 전방 간격 슬라이드와 마진 수렴만으로는 관절경 완전 봉합이 불가능한 대형 회전근 개 파열을 가진 58 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습니다. 각각 환자는 추가적인 후방 간격 슬라이드와 후속 측면 수선을 이용한 관절경 완전 봉합(그룹 C)과 추가적인 후방 간격 슬라이드 없이 마진 수렴만으로 관절경 부분 봉합(그룹 P)치료중에 하나를 받았습니다. 치료 군에 대한 환자 할당은 무작위화되지 않았습니다. 기능 평가에는 시각 아날로그 척도 통증 점수, 주관적인 어깨 값, 미국 어깨 및 팔꿈치 외과 의사 점수, 로스 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 어깨 점수 및 능동 어깨 활동 범위가 포함되었습니다. 수술 전 및 6 개월의 후속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 (MRA) 이미지를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하였습니다. 결과: 수술 전 값과 비교하여 두 그룹 모두에서 상당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최종 추시 평가에서, 기능적 값의 그룹간에 유의 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p <0.001). 재 파열은 C 군 환자의 88 % (22/25)에서 확인되었으며; 그들은 P군 환자에 비해 더 큰 재 파열 크기 (p = 0.001)와 더 짧은 견봉상완골두 거리 (p = 0.007)를 가졌습니다. 결론: 수술 후 초기 추종 MRA에서 후방 간격 슬라이드 (그룹 C)가있는 완전 봉합 그룹은 후방 간격 슬라이드 (그룹 P)가없는 부분 봉합 그룹보다 88 %의 재 파열비율과 더 큰 재 파열 크기를 가졌습니다. 최소 5 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임상 결과들에서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이 초기 열등한 방사선 학적 결과는 완전 봉합 그룹에서 견봉상완골두간의 거리를 유의하게 단축시켰습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Minimum 5-year follow-up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 complete repair with aggressive release versus partial repair alone-
dc.title.alternative크기가 큰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 봉합 후 최소 5 년 추적 관찰: 적극적인 이완술을 동반한 완전 봉합과 부분 봉합만의 비교-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cine-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Jeung Yeol-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