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 449

Cited 0 times in

임신 주수별 대기 오염 노출 정도와 태아 사망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양욱-
dc.date.accessioned2020-12-23T06:01:54Z-
dc.date.available2020-12-23T06:01:5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1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이 임신 초기에 태아 사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대기오염물질과 태아 사산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나아가 예방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1년동안 일어나는 태아사산이 약 5,000건에 달하고, 태아사산에 대한 원인이 상당수 불명으로 판정되는 것을 고려하면,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구는 통계청 사망원인보완조사와 인구동향조사를 활용하여 사산아와 출생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기오염물질(PM10, CO, O3, SO2, NO2)에 대한 정보는 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AirKorea에서 취득하였으며, 기상에 대한 정보는 기상청에서 취득하였다. 연구방법은 임신 주수와 태아사산일 또는 출생일을 활용하여 임신 추정일을 계산하였으며, 임신 추정일로부터 임신 후 140일까지 1일씩 미루어 가며, 대기환경오염농도와 대조해 가며 OR을 계산하였다. Logit 링크를 활용한 GAM 모델로 분석을 하였으며 월, 요일, 휴일, 기온 등의 공변량을 보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PM10은 태아사산과 임신 예상일로부터 약 56일(8주) 후에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OR=1.115; 10분위 비교 시)을 보였으며, 이는 2분기에 발생한 태아사산과 3분기에 발생한 태아사산으로 나누었을 때도 일치하였다. 다른 대기오염물질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지만, PM10이 가장 뚜렷한 패턴을 보였다. 현재로서는, 임산부 근로자가 임신 초기에 직무를 수행하면서 대기오염물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법령이 정해져 있지 않아,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a possible volatility of ambient air pollutants on fetus in early stage of pregnancy. Furthermore, the outcome will be helpful in preventing stillbirth as well as establishing policy regarding stillbirth, considering about 5,000 stillbirths are occurring every year in Ko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data from Statistics Korea (stillbirth and birth). Data on ambient air pollutants (PM10, CO, O3, SO2, NO2) and climates were downloaded from AirKorea and Korea Meteorological Ministry, repectively. As for the methodology, an estimated conception date was calculated from birth or stillbirth date and gestational age for each individual. From the estimated conception date, a day was added until 20 weeks after the estimated conception date was reached. OR was computed with environmental data at each step.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logit link was used with adjusted variables such as months, holidays and temperature. Based on the study, PM10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illbirth 56 days (8 weeks) after the estimated conception date with OR of 1.115 (when compared in decile). More attention and research is needed as current law and policy cannot protect pregnant workers working in the field from ambient air polluta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임신 주수별 대기 오염 노출 정도와 태아 사망의 관계-
dc.title.alternativeStillbirth and Ambient Air Pollutants by Gestational Age-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angwo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