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423

Cited 0 times in

인지기능에 비만 역설은 존재하는가? : 2006년∼2016년 고령화연구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Other Titles
 Does an Obesity Paradox Exist in Cognitive Function? :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2006 through 2016 
Authors
 강경식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정책관리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Purpose: Obesity and cognitive impairment are both important and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s.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the so-called 'obesity paradox' that obesity may be a preventive factor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1st(2006) wave to 6th(2016) wave of KLoSA,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BMI cut-off points(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recommended by the WPRO of WHO and WHO.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BMI cut-off values divided into 10 classifications rather than simplified existing BMI cut-off values. Method: Of the 10,254 people aged 45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t least once during the 1st(2006) wave to 6th(2016) wave of KLoSA, 8,970 people were included except for 1,284 who are subject to exclusion criteria.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estimates, we applied appropriate weights provided by KLoSA.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gnitive function, and covariates were socio-demographic factors(age,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gion, religion), economic factor(equalized household income), health behavior factors (exercise, smoking, drinking), health status factors(depression, ADL, IADL,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BMI cut-off values measured as WHO, WHO-WPRO and 10-points were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on gender. A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GLIMMIX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n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In the adjusted model with all confounders, According to WHO-WPRO BMI cut-off values,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for the underweight group (<18.5kg/㎡) and the overweight group(23kg/㎡-24.9 kg/m2) and obesity group (≥25kg/m2)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18.5kg/㎡-22.9kg/㎡) was 0.86 times, 0.74 times, and 0.76 times, respectively (P <0.0001).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WHO BMI cut-off values,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for the underweight group (<18.5kg/㎡) and the overweight group(23kg/㎡-29.9kg kg/m2) and obesity group (≥30kg/m2)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18.5kg/㎡-24.9kg/㎡) was 0.87 times, 0.95 times and 1.64 times, respectively (P <0.0001).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BMI cut-off values. As an alternative to the simply categorized BMI cut-off values, in case of points that divided BMI into 10 groups(less than 18.5, 18.5 to 19.9, 20.0 to 21.4, 21.5 to 22.9, 23.0 to 24.9, 25.0 to 26.4, 26.5 to 27.9, 28.0 to 29.9, 30 to 31.9, or 32.0 or more.),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for 7-group(26.5kg/㎡-27.9kg/㎡)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23kg/㎡-24.9kg/㎡) was 0.97 times (P <0.0001), and in the other groups,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was higher than 1 (P <0.0001). This is a typical J-curve shape. Except for a certain BMI group, the higher the BMI groups than the reference group, the higher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the subgroup analysis by gender, Regardless of both WHO-WPRO BMI and WHO BMI in men,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groups(underweight, overweight, obesity) (P <0.000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BMI classified into 10 groups, in men, the odds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of 7-group (26.5kg/㎡-27.9kg/㎡) and 9-group (30kg/㎡-31.9kg/㎡)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23kg/㎡-24.9kg/㎡) was 0.85 times and 0.43 times, respectively(P <0.0001). Regardless of the both WHO-WPRO BMI and WHO BMI in women, the odds ratio was less than 1 for cognitive impairment in the underweight and overweight group (P <0.0001). On the other hand, in the obesity group, the odds ratio was 0.80 times (P <0.0001) in WHO-WPRO BMI and 2.21 (P <0.0001) in WHO BMI. In the case of using the BMI classified into 10 groups,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BMI groups in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cognitive impair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cognitive impairment may be changed due to different BMI cut-off values(WHO, WHO-WPRO). BMI cut-off values divided into 10-points, not simply categorized BMI cut-off values showed that overall obesity was did not lower the risk for cognitive impairment. Therefore, Appropriately segmented and gender-controlled BMI cut-off values may help to manage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rather than using traditional BMI cut-off values.
연구목적: 비만과 인지기능 저하는 모두 중요하고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인 상황에서 비만이 인지기능 저하 발생의 예방인자일 수 있음을 주장하는 이른 바 '비만 역설(obesity paradox)'에 대한 다수의 연구 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1차년도(2006년)-6차년도(2016년) 자료를 사용하여 45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WHO 체질량지수 분별점 및 WHO-WPRO 체질량지수 분별점에 따른 비만도(저체중, 과체중, 비만)가 각각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또한 단순화된 분별점이 아닌 10개 구간으로 세분화 된 체질량지수 분별점과 인지기능 저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고령화연구패널 1차년도(2006년)-6차년도(2016년) 조사 기간에 최소 한번 이상 설문조사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성인 10,254명 중 기준조사 시점(1차년도)에 연구에 사용되는 독립변수, 결과변수, 통제변수들에 대하여 결측된 응답을 갖는 1,284명을 제외한 8,970명을 최종 연구대상 표본으로 하였으며, 정확성과 대표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본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 저하 여부를 종속변수로, 인구사회적 요인(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여부, 거주지역, 종교), 경제적 요인(균등가구소득), 건강행태 요인(평소운동, 흡연, 음주), 건강상태 요인(우울증, 일상생활 수행 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을 통제변수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체질량지수를 WHO 분별점, WHO-WPRO 분별점, 10개 구간으로 세분화한 분별점을 사용하였다. 추가로 하위군 분석으로 성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GLIMMIX 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통제변수들을 보정한 최종 분석 결과에서 WHO-WPRO BMI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정상체중군(18.5kg/㎡-22.9kg/㎡) 대비 저체중군(<18.5kg/㎡), 과체중군(23kg/㎡-24.9kg/㎡) 및 비만군(≥25kg/㎡)에서 인지기능이 저하될 오즈비가 각각 0.86배, 0.74배, 0.76배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반면에 WHO BMI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에는 정상체중군(18.5kg/㎡-24.9kg/㎡) 대비 저체중군(<18.5kg/㎡), 과체중군(25kg/㎡-29.9kg/㎡)에서는 인지기능이 저하될 오즈비가 각각 0.87배, 0.95배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01), 비만군(≥30kg/㎡)에서는 오즈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64배 높은 것이 확인되어(P<0.0001) 사용되는 BMI 분별점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단순하게 범주화된 분별점의 대안으로 BMI를 10개 군(18.5 미만, 18.5 to 19.9, 20.0 to 21.4, 21.5 to 22.9, 23.0 to 24.9, 25.0 to 26.4, 26.5 to 27.9, 28.0 to 29.9, 30 to 31.9, or 32.0 이상)으로 세분화한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기준집단(23kg/㎡-24.9kg/㎡) 대비 7군(26.5kg/㎡-27.9kg/㎡)에서는 인지기능이 저하될 오즈비가 0.97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P<0.0001), 나머지 군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 저하의 오즈비가 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01). 이는 전형적인 J-곡선 형태로서 특정 구간을 제외하고는 기준집단보다 BMI가 높아질수록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하위군 분석에서는 남성의 경우 특정 분별점(WHO-WPRO, WHO BMI)에 관계없이 저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 모두에서 인지기능 저하의 오즈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반면에 BMI를 10개 군으로 분류한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남성에서는 기준집단(23kg/㎡-24.9kg/㎡) 대비 7군(26.5kg/㎡-27.9kg/㎡) 및 9군(30kg/㎡-31.9kg/㎡)에서만 인지기능이 저하될 오즈비가 각각 0.85배, 0.43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P<0.0001), 나머지 군들에서는 모두 인지기능 저하의 오즈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1). 여성에서는 특정 분별점(WHO-WPRO, WHO BMI)에 관계없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오즈비가 1보다 작았다(P<0.0001). 반면 비만군에서는 WHO-WPRO BMI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오즈비가 0.80배(P<0.0001), WHO BMI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2.21(P<0.0001)배로 비만과 인지기능 저하의 상관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MI를 10개 군으로 분류한 분별점을 사용한 경우 여성에서는 모든 BMI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서도 비만과 인지기능 저하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에서 비만과 인지기능 저하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중고령자 전체 대상군 뿐만 아니라 하위군 분석에서도 단순화된 서로 다른 BMI 분별점(WHO BMI, WHO-WPRO BMI)으로 인하여 비만과 인지기능 저하의 연관성이 달라질 수 있음이 나타났고, 단순하게 범주화된 분별점의 대안으로 BMI를 10개 군으로 상세하게 분류하여 중고령자 전체 대상군을 분석하였을 때에는 전반적으로 비만이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요인을 낮추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성별에 따라 BMI를 10개 군으로 분류한 하위군 분석에서 여성과 달리 남성의 경우 특정 BMI 구간[7군(26.5kg/㎡-27.9kg/㎡) 및 9군(30kg/㎡-31,9kg/㎡)]에서는 BMI가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어 성별에 따라서도 BMI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중고령자에서 단순하게 범주화된 일률적인 BMI 분별점을 사용하기 보다는 적절히 세분화되고 성별에 맞게 BMI의 범위를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을 예방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A023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0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