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 561

Cited 0 times in

구강간호 제공자의 행동 양상과 치매노인의 저항행동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보라-
dc.date.accessioned2020-12-23T05:59:37Z-
dc.date.available2020-12-23T05:59:3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0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영상 자료의 분석을 통해 장기요양시설 구강간호 제공자의 행동 양상과 치매노인의 저항행동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저항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총 70개의 영상에 포함된 구강간호 제공자의 행동 양상과 치매 노인의 저항행동은 행동관찰을 위한 코딩 체계를 통해 각 행동의 빈도와 지속시간의 형태로 추출되었다.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과 STATA versio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선형혼합모형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23명의 치매노인 중 91.3%가 최소 한 건의 구강간호 서비스 중에 저항행동을 보였으며, 70건의 구강간호 서비스 중에서는 82.9%의 구강간호에서 치매노인의 저항행동이 관찰되었다. 구강간호 제공 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저항행동은 ‘벗어나려 하기(pull away)’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지속시간이 가장 긴 저항행동은 ‘입 악물기(clench mouth)’로 확인되었다. 치매노인의 구강간호 의존도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저항행동 유무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강간호 제공자가 보인 인간중심적 행동에서 언어적 범주 항목은 ‘협력적으로 타협하기 (cooperatively negotiating)’가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었다. 비언어적 범주에서 가장 높은 빈도와 지속시간이 나타난 항목은 ‘대상자의 속도에 맞추어 주기(adjusting to resident’s pace)’ 행동이었다. 구강간호 제공자의 업무중심적 행동의 경우, 언어적 범주 중에서 ‘권위적인 말투(verbally controlling)’ 항목이 가장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비언어적 범주에서는 ‘신체적으로 제어하기(physically controlling)’ 항목이 그 빈도와 지속시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 각 행동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인간중심적 행동 중에서 비언어적 범주의 지속시간은 저항행동의 지속시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업무중심적 행동의 언어적 범주와 비언어적 범주는 빈도 및 지속시간 모두에서 치매노인의 저항행동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1. 치매노인의 저항행동의 분 당 빈도에 대해서는 구강간호 의존도와 인간중심적 행동 양상의 ‘편안한지 상태 확인하기'와 ‘협력적으로 타협하기’가, 업무중심적 행동 양상의 ‘신체적으로 제어하기’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저항행동의 상대적 지속시간의 경우, 구강간호 의존도, K-MMSE 총 점수, 그리고 업무중심적 행동의 ‘권위적인 말투’, ‘끼어들거나 대화주제 바꾸기’, ‘신체적으로 제어하기’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구강간호 제공자가 치매노인이 편안한지 상태를 살피는 것이 저항행동의 완화에 도움이 되며, 신체적으로 제어하는 행동이 치매노인의 저항행동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치매노인의 저항행동은 노인의 기능적 의존도가 높거나 인지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발생하기 쉬우므로, 각 치매노인 개인의 기능적 특성에 맞는 개별적 구강간호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치매노인에 대한 존중의 태도로 다가가며, 구강간호 시 치매노인이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영상 분석을 통한 관찰 연구로, 보다 객관적인 자료수집을 가능케 하였고, 추후 치매노인의 구강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 및 간호 제공자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used video analys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behavior patterns of oral care providers and resistiveness to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on resistiveness to care of by person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behavior patterns of oral care providers and resistiveness to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were extracted in the form of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behavior from 70 videos, using a coding scheme for behavioral observation.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resistiveness to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using linear mixed model analysis considering repeated measurement of data. Results showed that “assessing the comfort of resident,” and “cooperatively negotiating” in the Person-Centered Behavior Inventory, “physically controlling” in the Task-Centered Behavior Inventory, and dependency on oral car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ates of resistiveness to care. “Verbally controlling,” “interrupting or changing topic,” and “physically controlling” in the Task-Centered Behavior Inventory, dependency on oral care, and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 (K-MMSE) scor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lative duration of resistiveness to care. The duration of the nonverbal category in the person-centered behavior of oral care provider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lative duration of resistiveness to c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physical control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istiveness to care. Further, the resistiveness to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occurs as a condition of high dependence on oral care or reduced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when providing oral care to persons with dementia, individualized oral care based on the functional status of each person with an attitude of respect for the persons with dementia is needed. It is recommended that oral care providers try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preferences of persons with dementia.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oral care providers in long-term facilities and for future management programs for oral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구강간호 제공자의 행동 양상과 치매노인의 저항행동-
dc.title.alternativeBehavior Patterns of Oral Care Providers and Resistiveness to Care of Persons with Dementia-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or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