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615

Cited 0 times in

유형별 미충족 의료 경험과 우울과의 관련성: PHQ-9을 활용하여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and Depression using PHQ-9 in Korean: A Cross-sectional study of KNHANES 
Authors
 주혜진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정책관리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국민의 건강권은 평등하게 보장되어야 하며, 누구나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미충족 의료는 보건의료의 체계와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의료접근성 측면에서 건강보험 및 보건의료시스템의 사각지대를 반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미충족 의료와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의료이용 제한으로 인하여 우울 위험이 더 큰 대상자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제6~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8년) 설문조사 자료 중 PHQ-9에 대한 항목이 조사된 2014, 2016, 2018년 총 3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울증 의사진단을 받은 대상자와 만 20세 미만 대상자를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15,120명(남성: 6,607명, 여성: 8,513명)을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먼저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관련 요인 등에 대한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통하여 각 변수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미충족 의료 경험과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하고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관련 요인 등 모든 독립변수를 동시에 보정하였다. 분석결과는 각 단계별로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 중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대상자는 남성 28.0%, 여성 34.4%였다.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우울이 발생할 가능성이 남녀 모두에서 2배 이상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남성: OR=2.10, 95% CI=1.44-3.08; 여성: OR=2.03, 95% CI=1.60-2.58). 병의원과 치과 모두에서 미충족 의료를 동시에 경험했을 때 병의원이나 치과 둘 중 하나에서만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경우보다 우울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았다(남성: OR=7.25, 95% CI=4.48-11.75; 여성: OR=3.81, 95% CI=2.73-5.32). 특히,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미충족 의료가 발생한 대상자들은 비경제적 이유와 비교하여 남녀 모두에서 우울할 가능성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남성: OR=2.94, 95% CI=1.74-4.97; 여성: OR=2.71, 95% CI=1.99-3.70). 미충족 의료 경험자들은 남녀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수도권이나 광역시가 아닌 지역일수록, 별거·이혼·사별하거나 미혼일 경우, 화이트칼라나 핑크칼라의 직업일수록, 만성질환을 2개 이상 보유하고 있을 때 우울 위험이 더 컸다. 반면 가계소득 수준의 경우 남성은 높을수록, 여성은 낮을수록, 교육수준의 경우 남성은 고학력일수록, 여성은 저학력일수록, 민간의료보험의 경우 남성은 가입자일 때, 여성은 미가입자일 때,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경우 남성은 제한이 있을 때, 여성은 제한이 없을 때, 신체활동의 경우 남성은 충분할수록, 여성은 부족할수록 더 우울한 결과를 보여 성별 간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성인의 우울 위험이 높으며, 특히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때 우울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수치적인 근거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민의 건강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보다 강화되고, 미충족 의료 해소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길 바란다.
The people's right to health should be equally guaranteed to everyone, and anyone should be able to access the necessary medical services. Unmet needs is one of the indicators used to examine if the health care systems and policies are working properly.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flecting the blind spots of health insurance and health care system in terms of medical access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a potential risk of depression due to medical use restriction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unmet needs and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ree years were used as the 2014, 2016, and 2018 data among the 6th to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8). The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from doctors and who were under 20 years of age were excluded. Finally, a total of 15,120 (men: 6,607, women: 8,513)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first,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on each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factors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unmet needs experience and depression.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and depress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and weights were applied. Also, all covariate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factors were simultaneously adjust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28.0% of men and 34.4% of women experienced unmet needs. Those who experienced unmet needs were more than twice as likely to develop depression as those who did not, an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R=2.10 [95% CI 1.44-3.08] for men; OR=2.03 [95% CI 1.60-2.58] for women). Those who had unmet needs experience in the medical and dental services at the same time were the likelihood of depression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OR=7.25 [95% CI 4.48-11.75] for men; OR=3.81 [95% CI 2.73-5.32] for women). In particular, those who had unmet needs due to cost tended to be more depressed than other reasons (OR=2.94 [95% CI 1.74-4.97] for men; OR=2.71 [95% CI 1.99-3.70] for women). This study found that unmet needs are associated with likelihood of depression. Particularly, unmet needs due to cost had stronger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olicy efforts should be strengthened to address the issues faced by underprivileged people to reduce health inequalities and depression among South Korean population.
Files in This Item:
TA0259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10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