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8 1156

Cited 0 times in

암병동 간호사의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전문직 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autonomy of nurses in oncology care unit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uthors
 이수진 
College
 연세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PURPOSE : Nurses in cancer wards experience high exhaustion and job stress due to various nursing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special tasks different from general wards, and job satisfaction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ward nurses. Nurses' job satisfaction is a factor influenc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Therefore, studies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ancer wards are needed. Accordingly, research was conducted 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autonomy of professional positions as factors affecting nurse's direct satisfaction, and through this study, we sought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ancer wards, and ultimate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hope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and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improved satisfaction. METHOD :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survey design. Recruitment of subject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2020 to May 18, 2020 at the Cancer Hospital of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among the general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in the cancer war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or 154 people, and finally 134 data were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Bonferroni pos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win 25.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ambiguity r=-.381 (p<0.001), role conflict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r=-.265 (p=.002),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autonomy was r=0.362(p <0.001). Gender (β=-.165, p=.032), role ambiguity (β=-.064, p=.003), and role conflict (β=-)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736, p=.007), and professional autonomy (β=.101, p=.002)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ntire model was 25.7%. CONCLUSION : Subsequen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educational systems that can further perform research on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autonomy related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cancer ward nurses at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level ne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nurture administrative support and encourage a culture to promote nursing work and study, and encourage them to go to graduate school. In addition, a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and completion of conservative education, which can provide detailed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caring for cancer patients,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the role conflict of nurses in cancer wards, we developed a nurse counseling program for the role conflict felt by nursing end-of-life patients, analyzed problem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nurses performing low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vided feedback activities and education You have to write a program.
본 연구는 암병동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역할 모호성 및 역할 갈등, 전문직 자율성 정도와 직무만족도 수준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자 모집은 2020년 3월 21일 부터 2020년 5월 18일 까지 서울소재의 Y 대학병원의 암병원에서 시행하였고, 암병동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일반간호사 중 연구 참여를 동의한 154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 졌으며, 최종적으로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임상간호사 직무만족 측정도구(이병숙외 2인, 2018), 역할 모호성 도구 및 역할 갈등 도구(이해정 외 3인, 2002), 전문직 자율성 척도(Han, 1994)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Bonferroni 사후 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34 명 이었고, 대상자의 특성으로는 여자가 126 명(94%),연령 평균은 31.97±7.80 세 였다. 대상자의 결혼여부는 미혼이 91 명(67.9%)이었고, 종교가 있는 대상자는 64 명(47.8%)이었다. 대상자의 임상 경력 평균은 8.429±7.422 년이었고, 학력은 4 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학사가 122 명(91%)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상자의 근무 병동은 내과 병동이 81 명(60.4%), 외과 병동이53 명(39.6%) 이었으며, 종양 관련 보수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9명(73.9%), 종양 전문 자격증을 획득한 대상자는 20 명(14.9%)에 그쳤다. 2.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평균은 3.430±0.494 점으로 측정되었으며,6 개의 하위 영역 중 간호사로서의 책임완수(3.938±0.529)와 직업의 안정성과 보람(3.942±0.662)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암병동 간호사의 역할 모 호성 평균은 2.306±0.442 점, 역할 갈등 평균은 2.938±0.567 점, 전문직 자율성은 164.388±16.393 점으로 측정 되었다. 전문직 자율성 중 낮은수준 항목은 2.836±0.301 점, 중간수준 항목은 2.722±0.318 점, 높은 수준 항목은 2.719±0.304 점으로 중간수준 및 높은 수준의 자율성 항목 보다 낮은 수준의 자율성 항목을 더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3 . 대 상 자 의 일 반 적 특 성 에 따 른 차 이 로 는 남 자 가 여 자 보 다 직 무 만 족 도점수가 높았으며(p=0.005),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집단의 역할갈등 점수에 비해 낮게 측정 되었고(p=0.034), 교육 정도에 있어서 전문학사 집단이 학사 및 석사 이상의 대상자 보다 역할 모호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46). 임상적 특성 중 종양관련 보수교육 이수여부에 있어 종양 관련 보수 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역할 모호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47). 4. 직무만족도는 역할 모호성과 음의 상관 r=-.381(p<0.001), 역할 갈등 또한 음의 상관 r=-. 2 6 5 ( p=. 0 0 2 ), 전문직 자율성과는 양의 상관 r=0 . 3 6 2(p<0.001)을 나타냈다. 5.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성별(β=-.165, p=.032), 역할 모호성(β=-.064, p=.003), 역할 갈등(β=-.736, p=.007), 전문직 자율성(β=.101, p=.002) 모두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25.7%였다. 본 연구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일반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전문직 자율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별,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전문직 자율성이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 따라서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을 낮추고 전문직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의 마련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A0256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